[속보] 비리의 온상 '사진공모전'… 입상하려면 돈봉투부터?

  • 문화
  • 문화 일반

[속보] 비리의 온상 '사진공모전'… 입상하려면 돈봉투부터?

초대작가 타이틀 얻으려면 사진공모전 입상 가점 필요
관례처럼 이끌어주고 돈 건네는 업계 적폐 수십년 지속

  • 승인 2020-11-23 16:55
  • 신문게재 2020-11-24 3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16093762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속보='비리의 온상'이라 불리는 사진공모전에서 해마다 부정 비리 의혹이 발생하고 있지만, 원인을 뿌리 뽑지 못하는 것은 관행처럼 굳어진 업계의 행태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중도일보 11월 23일 3면 보도>

사진은 미술과 음악, 무용 등 기존 예술 영역과는 달리 전공자를 가늠하는 잣대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사진작가협회에 입회하고, 초대작가 타이틀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모전 입상 가점(15점)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수많은 비리와 부정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얘기다.



여기에 초대작가를 중심으로 경력은 없지만, 타이틀이 필요한 사람들로 소그룹이 형성되는데, 스승과 제자라는 특수성 속에서 '입상=봉투'라는 공식이 고착화된 셈이다.

한국사진작가협회 대전지회 소속의 한 회원은 "수년간 돈과 권위가 있는 사람이 해결사처럼 입상시켜주니, 제자 혹은 지인들은 그에 상응하는 돈을 건네 왔던 거다. 이들이 또다시 초대작가로 성장해 이 같은 사례를 악의적으로 혹은 당연하게 반복해오며 적폐가 쌓였다"고 꼬집었다.



사진공모전을 둘러싼 비리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대전지회의 경우 2011년 대전시사진대전에서 작가협회 임원과 제자들이 수상을 싹쓸이해 논란이 됐다. 2019년 시전은 대상작 포토샵 논란과 1년 전부터 거론된 수상자 명단으로 뒷말이 무성했다. 올해 시전과 백제사진전은 포토샵 논란, 수상자 내정 등 뒤섞인 의혹으로 뭇매를 맞고 있다.

전국 단위로 범위를 넓혀보면 더욱 심각하다. 2010년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한민국사진대전’은 사진작가협회 간부가 특정 회원에게 상을 주는 대가로 거액의 금품을 받아 구속기소 되는 사건이 있었고, 경남과 광주지회에서도 수상 여부를 대가로 금품을 주고받았다는 보도가 있었다.

사진작가협회 한 회원은 "초대작가가 되려는 것도, 돈을 받고 수상자 조작하는 것도 결국 돈 때문이다. 전국 사진공모전이 1년에 약 300개 정도 된다. 대상 상금이 100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다양한데, 서너 개만 받아도 천 단위가 넘는 상금을 쓸어간다. 상을 받으면 작가로서 명성도 올라가니, 뒷돈을 주고라도 수상하려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주 사진공모전 심사를 갔던 타지역 심사위원이 대전에서 온 심사위원이 수상자를 내정해 공모전을 싹쓸이해갔다며 전화가 왔다"며 "이는 대전뿐 아니라 전국 단위로 부정비리 연줄이 이어져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화계는 사진공모전을 둘러싼 의혹과 관련해 예술인의 자존감은 지켜달라는 자성의 목소리가 줄을 잇고 있다.

한 예술인은 "수상 여부를 가리는 대회는 부정과 비리 의혹이 꼬리표처럼 따라붙는다. 다만 반복되는 의혹에 대해 사진협회 차원의 어떠한 조치도 없었는가 묻고 싶다"며 "예술에 돈 냄새를 풍기며 자존심을 갉아먹는 가짜 예술인 행세로 도를 넘지 말아 달라"고 강력하게 주문했다.

박홍준 대전예총 회장은 "매우 안타깝다. 코로나19로 지역의 많은 예술인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사진작가협회의 부정 의혹은 예술인들의 자존감을 또 한번 꺾는 아픈 사건"이라며 "무기력에 빠진 예술계의 자존심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라도 강도 높은 자정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