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승인 2021-01-13 08:18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어느새 2021년 새해가 밝은지 2주일이 지났다. 2021년은 신축년 '하얀 소의 해'로, 십간 중 여덟 번째인 '신(辛)'이 색으로 볼 때 흰색이며, '축'은 쥐(자, 子) - 소(축 ,丑) - 호랑이(인, 寅) - 토끼(묘, 卯), 용(진, 辰) - 뱀(사, 巳) - 말(오, 午) - 양(미, 未) - 원숭이(신, 申) - 닭(유, 酉) - 개(술, 戌) - 돼지(해, 亥)의 12마리의 동물들로 상징되는 12간지 중 두 번째 동물로 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소는 오랫동안 농경사회의 가장 기본적이고 큰 노동력이자 운송 수단이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소를 한 가정의 부를 상징하는 재산목록 1호로 꼽아왔다. 농사를 근본으로 여겼던 우리 조상들은 묵묵히 일하는 근면 성실한 소의 힘을 빌려서 농사를 짓고 부를 축적했는데, '소를 팔아 자식들을 키웠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농가의 가장 큰 재산으로 간주하였다. 소를 중요하게 여겼던 사람들은 정월 첫 번째 축일을 소날이라 부르며 이날이 되면 소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소를 잘 먹였다고 한다.



꾀부림 없이 평생 인간을 도와 일만 하고, 죽어서도 가죽과 고기를 남겨주는 소는 조상들에게 재산을 넘어 가족 같은 동물이었다. 그래서 소는 가축이라기보다는 생구라 하여 한 식구나 다름없이 소중히 여겼다. 일부 지역에서는 송아지가 태어나면 사람이 아기를 낳을 때처럼 부정 타지 말라고 대문에 금줄을 치기도 했고, 어미 소에게는 미역국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듯 인간과 친숙하게 지내며 끊임없는 노동력을 제공해 온 이유로, 소를 순종과 힘, 참을성과 근면성의 상징으로 여겼다. 그리고 풍년과 평화로운 분위기를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였다. 옛사람들은 입춘 전후에 풍년을 기원하며 흙이나 나무로 만든 소 인형을 세우기도 하였으며, 풍년을 기원하는 각종 제례에서는 소가 신성한 제물로 바쳐졌다. 또한 소가 풀을 뜯고 목동이 한가로이 피리를 불고 있는 그림은 평화롭고 한적한 분위기의 대명사로 통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어리석거나 고집이 세다는 이미지도 함께 가지고 있어 '황소고집' 또는 '소귀에 경 읽기'라는 속담도 있다.

2021년 신축년 흰 소의 해를 맞아 풍요로운 소의 기운을 받아 많은 복과 좋은 일들이 넘쳐나기를 그리고 소의 우직함을 닮아 어려운 일들이 있어도 성실하고 우직하게 잘 헤쳐나가길 바라본다.

/이미경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