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승인 2021-01-13 08:18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어느새 2021년 새해가 밝은지 2주일이 지났다. 2021년은 신축년 '하얀 소의 해'로, 십간 중 여덟 번째인 '신(辛)'이 색으로 볼 때 흰색이며, '축'은 쥐(자, 子) - 소(축 ,丑) - 호랑이(인, 寅) - 토끼(묘, 卯), 용(진, 辰) - 뱀(사, 巳) - 말(오, 午) - 양(미, 未) - 원숭이(신, 申) - 닭(유, 酉) - 개(술, 戌) - 돼지(해, 亥)의 12마리의 동물들로 상징되는 12간지 중 두 번째 동물로 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소는 오랫동안 농경사회의 가장 기본적이고 큰 노동력이자 운송 수단이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소를 한 가정의 부를 상징하는 재산목록 1호로 꼽아왔다. 농사를 근본으로 여겼던 우리 조상들은 묵묵히 일하는 근면 성실한 소의 힘을 빌려서 농사를 짓고 부를 축적했는데, '소를 팔아 자식들을 키웠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농가의 가장 큰 재산으로 간주하였다. 소를 중요하게 여겼던 사람들은 정월 첫 번째 축일을 소날이라 부르며 이날이 되면 소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소를 잘 먹였다고 한다.



꾀부림 없이 평생 인간을 도와 일만 하고, 죽어서도 가죽과 고기를 남겨주는 소는 조상들에게 재산을 넘어 가족 같은 동물이었다. 그래서 소는 가축이라기보다는 생구라 하여 한 식구나 다름없이 소중히 여겼다. 일부 지역에서는 송아지가 태어나면 사람이 아기를 낳을 때처럼 부정 타지 말라고 대문에 금줄을 치기도 했고, 어미 소에게는 미역국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듯 인간과 친숙하게 지내며 끊임없는 노동력을 제공해 온 이유로, 소를 순종과 힘, 참을성과 근면성의 상징으로 여겼다. 그리고 풍년과 평화로운 분위기를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였다. 옛사람들은 입춘 전후에 풍년을 기원하며 흙이나 나무로 만든 소 인형을 세우기도 하였으며, 풍년을 기원하는 각종 제례에서는 소가 신성한 제물로 바쳐졌다. 또한 소가 풀을 뜯고 목동이 한가로이 피리를 불고 있는 그림은 평화롭고 한적한 분위기의 대명사로 통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어리석거나 고집이 세다는 이미지도 함께 가지고 있어 '황소고집' 또는 '소귀에 경 읽기'라는 속담도 있다.

2021년 신축년 흰 소의 해를 맞아 풍요로운 소의 기운을 받아 많은 복과 좋은 일들이 넘쳐나기를 그리고 소의 우직함을 닮아 어려운 일들이 있어도 성실하고 우직하게 잘 헤쳐나가길 바라본다.

/이미경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