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0주년 기획-바이오특구 대전, 현재와 미래] 대전형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바이오창업 확대

[창간 70주년 기획-바이오특구 대전, 현재와 미래] 대전형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바이오창업 확대

허태정 시장 2019년 보스턴 방문 후 '대전형 바이오산업' 계획 구상
'2030 혁신성장 마스터플랜' 창업·성장 선순환 인프라 구축 등 담겨
랩센트럴 유치로 대전형 모델 완성… 공동 장비·투자·네트워킹 가능

  • 승인 2021-02-22 17:59
  • 수정 2021-02-23 16:49
  • 신문게재 2021-02-23 1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창간 70주년 기획-바이오특구 대전, 현재와 미래]



(중)혁신생태계 조성으로 미래먹거리 창출



특구 전경
대덕특구 전경


2019년 4월 미국 보스턴 출장에서 돌아온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형 바이오산업' 육성 계획을 천명했다. 바이오산업이 지역에서 성장잠재력이 가장 높은 산업이라고 판단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육성에 나서겠다는 것이었다. 보스턴은 미국 제1의 바이오제약클러스터로 혁신생태계를 조성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다.



코로나19를 겪으며 국내 바이오산업 저력을 확인한 정부와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산업 육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대전시는 K-진단의 전초기지로 활약한 대덕특구를 한국의 보스턴으로 조성하기 위한 그림을 그리며 바이오산업 육성 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

지난달 대전시가 발표한 '대전시 2030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마스터플랜'은 2030년까지 바이오 창업·성장 선순환 인프라를 구축하고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과 우수인력 유치·바이오테크 투자 촉진·글로벌 진출 기반 조성·네트워크 활성화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전략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바이오헬스 기술 전략적 육성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벤처창업과 기업유치 300개사와 글로빌 진출기업 100개사를 육성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보스턴형 모델의 핵심 중 하나인 '랩센트럴'(Lap Central) 조성을 주축으로 대전형 모델을 만들기에 나선다. 보스턴 랩센트럴은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첨단장비와 공동 실험실을 비롯해 사무실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네트워킹이 가능한 공간이다. 벤처캐피털과 금융·법률 자문·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계도 갖추고 있다.

앞서 허 시장은 출장 직후 브리핑에서 "현장에서 본 매우 인상적인 것 중 하나가 보스턴 창업육성센터(랩센트럴)인데 이곳은 직접 바이오 관련 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고 연결하는 사업을 한다"며 대전형 랩센트럴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재 대전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랩센트럴 구축사업'과 연계해 대덕특구 내 우수 자원과 인프라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유치 협조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역이 가진 기존 자원과 랩센트럴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대전은 지난 2019년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비롯해 정부 출연연과 대학·병원·지원기관 등 그동안 바이오벤처가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감염병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개별기업이 설치해야 할 고위험 병원체 취급시설(BL3) 등이 추가 설치돼 바이오기업에 보다 유리한 연구개발 환경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만이 갖추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이용해 바이오벤처가 탄생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려고 한다"며 "바이오산업을 대전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대표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5.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1.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2.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4.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5.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헤드라인 뉴스


텅 빈 옛 파출소·지구대… 수년째 방치돼 ‘도심 흉물’

텅 빈 옛 파출소·지구대… 수년째 방치돼 ‘도심 흉물’

대전 도시철도 판암역 인근 길가에 빈집처럼 방치된 2층짜리 건물은 한때 경찰이 상주하던 파출소였다. 순찰차가 수시로 오가고 경찰이 이곳을 거점으로 판암동 일대 치안을 살폈다. 판암파출소는 2020년 3월 약 2㎞ 떨어진 곳에 새 건물을 지어 이전했고, 기존 건물은 5년째 빈 상태로 남아 있다. 경찰 조직 개편으로 대전에서 파출소와 지구대를 폐지·통합하는 과정에서 남은 청사들이 활용처를 찾지 못한 채 공실로 남아 있다. 공공청사가 단순 매각 대상으로 처리되면서 장기간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옛 중부경찰서마저..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