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다문화]"5명 자녀들을 어떻게 키우십니까" 라는 질문에 "야생화처럼요"

  • 다문화신문
  • 천안

[천안 다문화]"5명 자녀들을 어떻게 키우십니까" 라는 질문에 "야생화처럼요"

  • 승인 2021-03-06 13:32
  • 수정 2021-05-04 11:22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저는 벨기에 출신으로 1982년에 은행원인 남편과 결혼했습니다.

1980년대 당시 한국은 자녀 2명만 낳아서 기르자는 산아제한 제도가 있었지만, 우리 부부는 5명의 자녀를 낳았고 야생화처럼 키웠습니다.



아이들은 야생화처럼 인위적이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피어나야 한다고는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 부모들은 자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심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부부는 자식들이 성장하면서 그들이 하고 싶은 일을 알아주고 꾸준히 지켜봐 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때때로 그 원칙을 지키기가 힘들 때도 있었지만 그때마다 '신앙'은 기준과 원칙이 돼줬습니다.

저는 부모로서 한국 아이들이 독립심을 길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벨기에서는 아이가 넘어지면 일단 혼자 일어나도록 지켜봐 주고 그래도 일어나지 못하면 그때 도와줍니다.

한국 부모들은 넘어지면 곧바로 아이에게로 달려가 일으켜 주고, 유치원 등· 하원 시에도 엄마나 할머니가 아이 가방 들고 갑니다.

왜 아이 스스로 자기의 가방을 등에 안 메는 걸까요?

그래서 그런지 대학생이 돼도 독립심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저는 교수 생활하면서 학생들이 독립심이 강한 사람으로 성장하길 늘 바라고 그렇게 교육을 해왔습니다.

야생화처럼 기르자는 말이 비단 가족에게만 해당되는 기준이 아닌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의 교육에 중요한 점이 있다면 사랑과 정성이라는 것입니다.

임신 전부터 남편과 같이 정성으로 준비한다면 아이들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지 않겠습니까?

또 인간이라면 학력, 경력, 봉사에 관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그럼 어렸을 때부터 부모들이 집에서 배려심 보여줘야 합니다.

이것들은 가르치는 것도, 지식으로 알려주는 것도 아닌 자연적으로 몸에 배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물에 관한 사랑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친정에서 받아왔던 귀중한 물건, 삼촌이 놀던 장난감을 조카가 가지고 놀다가 또 동생에게 물려 주듯이 말입니다.

그렇게 일상의 작은 물건도 시간이 오래되면 전통이 되잖아요?

소소하고 작은 것들에서 전통을 발견하는 요즘 새것에만 집착하면 우리는 잃어버리는 것이 많아집니다.

집에서 받는 교육은 사회에 영향을 주고 또 미래세계 앞에 좋은 여성과 남성, 남편, 아내, 엄마, 오빠가 책임감 강한 지도자나 스승이나 참 주인이 될 것입니다. 베이죠 소랑쥬 명예기자(벨기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