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1주년 3·8민주의거] 대전 곳곳에 남겨진 그날의 기억들

  • 정치/행정
  • 대전

[제61주년 3·8민주의거] 대전 곳곳에 남겨진 그날의 기억들

둔산동 3.8민주의거둔지미공원 기념탑
동문들이 세운 대전고·우송고 기념비도
2024년 3월 기념관 개관 땐 정신 확대

  • 승인 2021-03-07 15:40
  • 신문게재 2021-03-08 3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3.8기념탑
대전 서구 둔산동 3·8의거둔지미공원에 세워진 3·8민주의거기념탑
1960년 민주화에 대한 갈망이 만들어낸 3·8 민주의거의 흔적이 대전 곳곳에 남아 있다. 오늘날의 민주주의가 뜨거웠던 그 시대를 지나 만들어졌다는 것을 되새길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산물이다.

지난 5일 정오께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한 3·8의거둔지미공원. 높게 하늘로 치솟은 3·8기념탑이 그날의 기억을 간직한 채 우뚝 서 있었다. 25m가량의 높이는 공원 밖에서도 위엄을 드러낼 정도다. 이 탑과 옆에 자리한 커다란 원형 구 모양의 조형물은 2006년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와 대전·충남 4·19혁명동지회 주도로 만들어졌다. 1960년 3월 자유와 정의를 부르짖던 그 정신을 선양하고 전승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다. 기념탑 맨 꼭대기 청동불꽃과 잘 뻗은 돌기둥은 3·8민주의거의 함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다. 돌기둥 아래쪽 부조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고뇌하고 행동하는 젊은이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했다. 높은 탑 옆에 놓인 대형 구(球)는 자유와 민주의 큰 열매를 의미한다.

시민들은 산책 중 3·8기념비를 자세히 들여다보며 관심을 가졌다. 사진을 찍거나 조형물에 새겨진 글귀를 읽으며 고개를 주억거렸다. 이날 공원에서 만난 한 시민은 3.8의 흔적을 보기 위해 대구에서 방문하기도 했다.

KakaoTalk_20210307_114750815
대구에서 방문한 한 남성이 기념탑 사진을 찍고 있다.
다음으로 발길을 돌린 곳은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대전고. 3·8민주의거를 이끈 대전고 동문들이 1962년 헌정탑·2013년 기념비를 세웠다. 정문으로 들어가 학교 뒤편으로 향하자 기념비가 한 데 모여 있었다. 2013년 세워진 기념비에는 "여기를 거쳐 가는 대능의 젊은이여! 불의를 보고 분노할 줄 아는 그날의 용기를 되새겨 항상 깨어 있어라"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KakaoTalk_20210307_114959514
대전고 교정에 세워진 기념비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은 동구 자양동에 위치한 우송고다. 정문을 따라 올라가자 커다란 기념비가 눈에 들어왔다. 2002년 우송고로 교명을 바꾸기 전 당시 대전상고 학생들 역시 3·8의 주역이다. 1960년 3월 8일 대전고를 중심으로 항쟁이 일어나고 이틀 뒤인 10일 대전상고 학생들이 거리에 나섰다. 학생 600명가량은 대전역과 충남도청 앞까지 행진하며 '학원의 정치도구화 반대'를 외쳤다. 당시 1·2학년이었던 6·7회 졸업생은 지난해 졸업 60주년을 맞이 기념비를 세웠다.

KakaoTalk_20210307_114754373
우송고 교정에 세워진 기념비
KakaoTalk_20210307_114755778
기념비 뒤쪽
오는 2024년 3월 개관을 목표로 추진 중인 3·8민주의거 기념관이 중구 선화동에 건립되면 대전 전역에 있는 각각의 흔적과 함께 보다 많은 이들이 3·8민주의거를 기리고 계승할 수 있을 전망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6일 3·8민주의거의 주역들과 함께한 토요산책을 통해 이곳을 둘러보기도 했다. 허 시장은 "역사에 대한 양심이 미래 세대에게 교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덕공동관리아파트 이재명 정부에선 해결될까… 과기인 등 6800명 의지 모여
  2. 대전 죽동2지구 조성사업 연내 지구계획 승인 받을까
  3. '팔걷은 대전경찰' 초등 등하굣길 특별점검 가보니
  4. 충남대병원 등 48개 공공기관,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5. 대전대, 70대 구조 중 숨진 故 이재석 경사 추모 분향소 연다
  1. 대전교도소 금속보호대 남용·징벌적 사용 확인…인권위 제도개선 주문
  2.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3. [2026 수시특집-대덕대] 교육수요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직업교육 중심 대학
  4. 대전 대학생 학자금대출 ‘늘고’ 상환 ‘줄고’… 취업난에 연체 리스크 커졌다
  5. 최교진 부총리, 현창 첫 일정으로 금산여고 찾아 '고교학점제 점검'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李정부 공공기관 2차이전 로드맵 지방선거 前 확정 시험대

이재명 정부가 16일 국정과제를 확정한 가운데 이에 포함된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로드맵을 내년 지방선거 전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가균형발전 마중물인 이 사안을 두고 선거용으로 활용한 역대 정부 전철(前轍)을 되풀이 하지 않고 이재명 정부 균형발전 의지를 증명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1호 국정과제인 개헌 추진과 관련해 560만 충청인의 염원인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수도조항 신설을 정치권에 촉구하는 것도 충청권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국내 탑클래스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첫 생산 기지 조성에 시동을 걸면서 대전시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전과 인천 송도 중 신규 공장 부지를 놓고 고심하는 알테오젠을 지역으로 끌어오기 위해 행정당국은 지속해서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국내 굴지의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 생산기지 확보는 고용창출과 세수확충 등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16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대전에 본사를 둔 바이오 기업 알테오젠이 자체 공장 건립에 나선다. 현재 알테오젠은 자체 생산 시설이 없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삼계탕 평균 1만 7000원 육박... 1만원으로 점심 해결도 어렵네

대전 외식비 인상이 거듭되며 삼계탕 평균 가격이 1만 7000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지역 외식비는 전국에서 순위권에 꼽히는 만큼 지역민들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8월 대전 외식비 평균 인상액은 전년 대비 많게는 6%에서 적게는 1.8%까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건 김치찌개 백반이다.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8월 1만 200원으로, 1년 전(9500원)보다 7.3% 상승했다. 이어 삼계탕도 8월 평균 가격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