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꽃의 언어와 활자의 언어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꽃의 언어와 활자의 언어

이은봉(시인, 대전문학관 관장)

  • 승인 2021-05-19 12:09
  • 신문게재 2021-05-20 19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이은봉
이은봉(시인, 대전문학관 관장)
공주의 나태주 시인이 정년퇴직을 하기 직전 장기초등학교에서 교장으로 재직할 때이다. 계간 '불교문예'의 일로 잠시 장기초등학교에 들른 적이 있다.

이런저런 얘기 끝에 내가 물었다. "선생님! 정년퇴직을 하게 되면 무엇이 안 좋아집니까." 나태주 시인이 머뭇거리지 않고 대답했다. "정년퇴직을 하면 큰 병에 걸린대요. 그 큰 병부터 조심해야지." "큰 병이라니요? 병명이 무엇이지요?" 나태주 시인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독이라는 병이에요." "아, 고독병요. 그 병에는 제가 하도 많이 걸려 이미 면역이 되었요. 항체가 생긴 지도 오래되었고요." 그가 말했다. "나는 이 고독병이 무서워요. 무슨 일거리가 있어야 이 병에 걸리지 않을 거예요. 이 교수도 정년퇴직을 한 뒤 이 병에 걸리지 않도록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이 고독병이 무서웠을까. 나태주 시인은 정년퇴직 후에도 왕성하게 문화예술 활동에 나섰다. 공주의 문인들과 이런저런 조직을 만들어 활동도 했고, 충남시인협회, 공주문화원, 한국시인협회 등에서도 훌륭한 역할을 했다.

세월은 빨라 한참 후배인 나도 대학에서 정년퇴직을 하게 되었다. 적어도 75세까지는 활동을 할 수 있을 텐데, 무엇을 어떻게 하며 살지? 어쩌면 80세가 넘게 살지도 모르는데, 무엇을 어떻게 하며 살지? 어쩌다 보니 나도 고독병에 대해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누구나 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 배우고 공부하기 마련이다. 나는 운이 좋아 좋은 선생님들, 훌륭한 선배님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다. 이들 중에는 아직까지도 내게 많은 깨달음을 주는 분들이 있다. 『녹색평론』을 만들다가 지난해에 이승을 떠난 김종철 선생님도 그런 분이다. 대학시절 처음 만나 김종철 선생님으로부터 내가 배우고 공부한 것은 엄청나게 크다.

김종철 선생님은 늘 대지 자연과 직접 만나는 일에 대해, 나아가 농사일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대지 자연과 직접 만날 때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할 수 있거니와, 그 과정에 형성되는 마을문화에 대해서도 선생님은 여러 차례 강조했다. 선생님의 견해에 기대지 않더라도 사람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에 대지 자연과 친하게 지내는 것만큼 좋은 일은 없다.

나태주 시인이 말하는 고독병을 이기고, 김종철 선생이 말하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 정년퇴직을 하기 훨씬 전 나는 공주시 정안면 월산리에 조그만 밭뙈기 하나를 마련하고, '부채밭'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이런 일에 나선 것은 내 고향 공주시 장기면 당암리 일대가 세종시에 의해 수용되어버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가 이런 일에 나선 데는 세종시의 건설 과정에 잃어버린 고향을 다시 만들고 싶은 뜻도 없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지대로 되는 것은 별로 없다. 분주한 일상 때문에 나는 공주시 정안면에 새로 만들고 싶었던 고향을 아직도 제대로 완성하지 못 하고 있다. 이에는 도시도 완전히 포기하지도 못하고, 농촌도 완전히 포기하지 못하는 내 엉거주춤한 태도도 한 몫 했다.

5월에 들어서자 내 농사터 부채밭 가에도 별별 꽃들이 다 피기 시작했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이들 별별 꽃들이 피는 줄도 모르는 채 허겁지겁 살고 있다. 분주한 일상 때문에 제대로 대지 자연의 변화를 살피지 못 하고 있는 것이다. 분주한 일상 때문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이 역시 대부분 책이나 활자들과 관련된 것들이다. 선불교에서는 책이나 활자들과 헤어져야 대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쉽지 않다. 돈오돈수를 주장한 성철 스님도 이사를 할 때는 일곱 트럭씩이나 책을 싣고 다녔다고 한다. 그러니 보통 사람인 나 같은 것이야 더 말해 무엇하랴. 대강은 책이나 활자들에 묻혀 사는 것을 용서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그렇지. 꽃의 언어는 팽개쳐버리고 활자의 언어나 쫓아다니다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