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청백리와 자벌레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청백리와 자벌레

떳떳해야 남아다

  • 승인 2021-10-0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지인과 술 약속이 있어 둔산동에 갔다. 일찍 간 덕분에 시간이 남아 서점에 들어섰다. 가득한 책들은 보기만 해도 배가 불렀다. 코로나 19는 많은 상처를 야기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것만 있는 건 아니었다.

국민 2명 중 1명은 코로나 19 이후 책을 읽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니 말이다. 이는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으로 디지털 매체 및 종이책 등을 통한 독서가 활성화됐다는 것이다.

이용이 증가한 읽기 매체는 주로 디지털과 인터넷 기반 매체로 ▲인터넷 정보 71.2% ▲인터넷 신문 51.7% ▲웹툰 이용 37.1% ▲웹 소설 이용 24.7% ▲전자책 이용 23.4% 등이었다고 한다.

종이책의 경우 코로나 이후 이용 증가가 21.8%, 이용 감소가 12.0%로 다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그러니까 살벌한(?) 코로나 시대에 국민은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바깥 활동과 만남이 큰 제약을 받는 대신 더 많은 책을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하튼 여전한 코로나 상황에서 '미뤄두고 읽지 못했던 책을 읽게 됐다'는 응답자가 30.3%로 나타났다는 건 대단히 고무적인 현상이다. 또 '책 읽는 시간이 늘었다' 28.1%와 '책에 집중하고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높아졌다' 25.4%, '분량이 많은 책을 읽게 됐다' 21.7% 등으로 독서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작가의 입장에서도 흐뭇한 뉴스로 다가왔다.

요즘 뉴스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다.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는 정가는 급기야 이른바 '50억을 받았거나 받기로 약속한 그룹 6명'까지 실명을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당연히 정치권이 발칵 뒤집혔다. 이에 대해 거론된 당사자들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한 민형사상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여간 그들이 50억을 받았든 안 받았든 나하곤 상관없다.

나처럼 보잘것없는 무지렁이에게 50억은커녕 5만 원도 주는 사람은 없으니까. 다만 나는 50억보다 내가 더 부자라는 인식만큼은 불변하다는 것이다. 책이 가득한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면 이런 긍정의 마인드는 더 요란한 범람의 강물이 된다.

이른바 '대장동 50억 약속그룹' 중 누가 진짜 50억을 받았는지의 여부는 수사 결과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당사자는 지금 그야말로 교도소 담장 위를 걷고 있는 심정일 것이다.

담장 위를 걷고 있다가 언제 나락으로 떨어져 교도소 안으로 들어갈지 몰라 불안에 떨고 있다는 표현이다. 진부한 주장이겠지만 현직이든 은퇴자든 공직자는 청렴해야 했다.

특히 고위직일수록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거울에 비춰보는 제삼자의 관조적(觀照的) 고찰은 기본이어야 한다. 이게 무너지고 뇌물에 기우는 순간, 졸지에 '탐관오리'로 변질하고 추락하게 된다.

청백리(淸白吏)는 관직 수행 능력과 청렴(淸廉), 근검(勤儉), 도덕(道德), 경효(敬孝), 인의(仁義) 등의 덕목을 겸비한 조선시대의 이상적인 관료상이었다. 조선시대 당시 청백리는 총 217명이 배출되었다.

청백리가 되면 후손들에게 선조의 음덕을 입어 벼슬길에 나갈 수 있는 특전도 주어졌는데 음서제(蔭敍制)가 바로 그것이다. 다산 정약용은 "높은 자리는 과녁과 같아서 누구나 거기를 향해 활을 쏘고자 하니 항상 처신에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목민심서'에서는 탐관오리를 일컬어 먹을 것이 보여야 기어가고 겁을 주면 움츠리고만 있다는 의미로 '자벌레'라고 폄훼했다. 마음에 드는 책을 사서 품에 안았다. 50억 이상의 만족감에 나도 모르게 행복했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초경서반-홍경석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