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학력과 지력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학력과 지력

지력이 튼튼해야 농사도 풍년이다

  • 승인 2021-10-23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평소 라디오를 애청한다. 오후 방송 중 전국 애청자가 전화로 참여하는 퀴즈 프로그램이 있다. 유명 방송인이 진행하는데 여간 재미있는 게 아니다.

퀴즈의 장르는 다양하게 출제된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를 느끼는 분야는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다. 사자성어(四字成語)는 한자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로 교훈이나 유래를 담고 있다.

고사성어(故事成語)는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말을 의미한다. 대표적 사자성어로는 '고생 끝에 낙이 있다'는 고진감래(苦盡甘來)가 꼽힌다. 잘 알려진 고사성어엔? 각주구검(刻舟求劍)을 들 수 있다.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이다. '칼을 강물에 떨어뜨리자 뱃전에 그 자리를 표시했다가 나중에 그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이다.



판단력이 둔하여 융통성이 없고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음을 비웃는 표현이다. 그런데 라디오 퀴즈 프로그램에 출연한 애청자 대부분이 사자성어와 고사성어에 약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프로그램이 더욱 인기몰이하는 이유는, 출연자들이 맞추지 못한 문제를 진행자가 즉각 애청자들에게 넘긴다는 것이다. 덕분에 문제를 맞히고 제주도 오메기떡을 선물로 받기까지 했다.

내가 이처럼 사자성어 혹은 고사성어를 잘 아는 것은 평소 책을 많이 읽는 등 지력(知力)에 몰두한 덕분이다. 사자성어와 연관된 저서를 두 권이나 발간한 경험도 큰 몫을 했다.

며칠 전에는 모 기관에서 초대를 받아 아카이빙(archiving) 편집위원으로 회의를 가졌다. 고작 초졸 학력의 무지렁이가 언론인 간부 출신의 기라성 같은 분들과 어깨를 같이 했다. 그래서 자부심이 무럭무럭했다.

이 또한 지력의 힘을 새삼 발견한 부분이랄 수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가 '제31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수상자로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을 선정했다.

신학철 부회장은 1979년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국내 화학업계 발전과 친환경 소재 및 녹색기술 연구개발 등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선정됐다.

더욱이 탄소 배출량 감축 선언 등 ESG 가치 지향의 경영활동으로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기여해오고 있다고 했다.

정은경 청장은 1989년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국립보건원 연구관으로 공직을 시작한 이래 26년 동안 국민의 보건의료 수준 향상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지난해부터 지속된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나라 방역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국민건강과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해오고 있다고 서울대는 밝혔다.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상은 아무나 받을 수 없다.

초지일관(初志一貫) 열정과 의지로 매진해야만 비로소 수상자 후보군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반면 동전의 양면처럼 '부끄러운 서울대인'도 있다. 상위권에 오른 인사의 이름은 굳이 밝히지 않겠다.

아무튼 올해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으로 선정된 신학철 부회장과 정은경 청장의 공통점 역시 평소 투철한 지력과 실천에 방점을 찍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나는 기대했던 올해 모 기관의 [00 구민 대상] 수상자에서 빠지고 후보자 군에만 이름이 남게 됐다.

실망이 적지 않았지만, 곧 잊기로 했다. 우리나라 사람은 학력(學力)보다 학력(學歷)을 중요하게 따지는 경향이 다분하다. 하지만 흔한 대학 문턱에 못 가본 사람 중에도 이른바 프로급 선수들은 많다.

나는 후자에 속한다고 본다. 그래서 말인데 정작 학력보다 중시돼야 하는 건 지력(知力+智力)이 아닐까. 지력(地力)이 튼튼해야 그해 농사도 풍년임은 삼척동자도 아는 상식이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2021051301000775300030521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