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대장동 도적들 못 잡나? 안 잡나!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대장동 도적들 못 잡나? 안 잡나!

어둠의 공모자들 엄벌하라

  • 승인 2021-10-3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수호지(水滸誌)는 중국 명대(明代)의 장편 무협 소설이다. 북송시대 양산박에서 봉기하였던 호걸들의 실화를 배경으로 각색하였다. 원말 명초(元末明初)의 시내암(施耐庵)이 쓰고, 나관중(羅貫中)이 손질한 것으로 중국 4대 기서(奇書) 중의 하나이다.

참고로 4대 기서에는 <삼국지연의>와 <서유기>, <금병매>가 포함된다. 수호지는 수령인 송강(宋江)을 중심으로 108명의 유협(遊俠)들이 양산박(梁山泊)을 거점으로 조정의 부패를 통탄하고 관료의 비행에 반항하여 민중의 갈채를 받는 이야기이다.

무송(武松), 노지심(魯智深), 이규(李逵) 등 신분이 낮은 계층과 임충(林?), 양지(楊志)처럼 지주 출신자도 가담하여 탄탄한 팀워크를 이루고 있다. 초근목피(草根木皮)의 가련한 민중의 삶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가렴주구(苛斂誅求)에만 몰두하는 썩은 관료들을 단죄하는 게 그들의 설립 목적이다.

따라서 수호지에 등장하는 활발하고 용감한 사나이들의 이야기는 오늘날까지 인기를 모으는 것이다. 물론 당시 관(官)에서는 양산박의 108 호걸들을 도적과 반란 수괴라며 소탕령을 내렸다. 그런데 세상이 바뀌어서일까.



지금 우리나라는 일부의 도적들이 관, 즉 정부와 국민들까지 싸잡아 능멸하면서까지 말도 안 되는 천문학적 치부 행각을 벌였다. 그 주인공들은 다름 아닌 이른바 '대장동 도적들'이다. 당연히 지탄과 처벌의 비난 대상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 당시 483명의 땅 주인들은 눈물을 머금고 반값에 땅을 내주어야 했다. 그 땅에 지은 아파트를 6000명은 비싼 값에 샀다. 땅 짚고 헤엄치기의 전형적 치부 행각이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중간에서 작당한 거간꾼을 하면서 말도 안 되는 엄청난 이익을 거둔 자들의 후안무치 행적이었다. 이 과정에서 '어둠의 공모자들'은 무려 6,000억 원이라는 사익을 편취했다.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말이 좋아서 6000억 원이지 이 돈이면 대체 못 할 게 뭐가 있을까 싶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는 속담이 있다. 지지리 못난 사람일수록 같이 있는 동료를 망신시킨다는 말이다. 대장동 화천대유 사건에서 고작(?) 8721만 원을 투자해 무려 1007억 원이나 배당받은 것으로 알려진 남 모 변호사는 여론이 악화하자 미국으로 출국했다.

그러다 사건이 연일 보도되고 압박이 가해지자 마지못해 귀국하여 성실한 대부분의 변호사들에게 애먼 수치심을 안겼다.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의 핵심 인물이자 화천대유의 대주주 김 모 씨 또한 전직 기자 출신으로 '기레기'란 오명으로 불리며 동료 기자들에게 씻기 힘든 모멸감을 줬다.

더 가증스러운 것은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취재기자들 앞에서 농담까지 던지는 등 자못 당당하기까지 하다는 모습이다. 이에 누가 보기에도 흐물흐물하기 짝이 없는 검찰의 대장동 수사팀은 국민들로 하여금 "대장동 도적들, 도대체 못 잡나? 안 잡나!"라는 의구심을 팽배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유토피아]의 저자 토머스 모어는 영국의 고위 공직을 두루 지냈다. 그는 청렴한 공직자로서 '뇌물'을 절대 받지 않았다. 한 번은 어떤 부인이 병상에 있는 남편의 송사에서 올바른 판결을 해줘 고맙다는 뜻으로 모어에게 도금한 컵을 선물로 가져왔다.

부담스러운 선물에 모어는 기지를 발휘해서 그 컵에 포도주를 가득 부어 선물한 사람의 건강을 위해 건배를 한 후 컵을 돌려주었다. 전직 고관대작들까지 두루 망라된 화천대유 사건에서 새삼 토머스 모어의 청렴관(淸廉觀)을 칭송하지 않을 수 없다. 양산박 유협들까지 공분할 '대장동 도적들', 즉 어둠의 공모자들을 반드시 엄벌하라! 국민의 명령이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초경서반-홍경석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