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낙엽을 밟으며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낙엽을 밟으며

김명순(대전문인총연합회장)

  • 승인 2021-11-24 16:51
  • 신문게재 2021-11-25 19면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2021020901010006127
김명순 문인협회장
저녁 산책길을 나서는데 가로수 길에 노란 은행잎이 누워있다가 벌떡 일어나 나뒹군다. 은행잎마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얼굴들이 그려진다. 낱장의 흑백 사진이 이내 천연색 동영상으로 변하여 이마 위 하늘에 영화관 스크린처럼 나타난다. 갑천을 따라 서쪽으로 걸어간다. 갑천 상류를 따라가다 보면 마음은 고향을 향해 달려간다. 정림보를 지나 노루벌 흑석리로 달려가 두물머리 정방이 마을에서 머뭇거린다. 왼쪽으로 가면 한삼천 벌곡을 지나 대둔산 수락계곡으로 이어지고, 오른쪽 두계천은 금암리 고향 마을을 지나 계룡산 암용추 숫용추 발원지로 이어진다. 고향에서 내려오는 물빛에 얼굴을 비춰보고 강바람을 마시면 엄마 냄새가 나는 듯 행복하다.

산책길에서 매일 만나는 흰뺨검둥오리는 오리발을 내저으며 잠수질하느라 바쁘고, 언제나 홀로 서 있는 쇠백로는 기도하는 수도승처럼 부동으로 서 있다. 사람들이 가을이면 단풍을 찾아간다. 나무들이 오색 찬란한 옷을 벗는 가을 산에서 떨어져 누운 단풍잎을 거울 들여다보듯 보는 까닭은 자신의 삶을 비춰보기 위해서일 것이다.

이 땅에 태어난 것이 참 다행이며 행복한 것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분명한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는 것이다. 한곳에 머물러 살아도 사계를 여행하며 날마다 다르게 변하는 자연과 동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절의 변화를 모르고 열심히 사는 사람도 가을이 오고 가는 것을 아쉬워한다. 가을이 관조의 계절이기 때문이다. 봄에는 온갖 꽃 빛에 반하고 꽃향기에 흥분하여 춤을 추지만 가을에는 단풍을 바라보다 낙엽을 밟으며 고개 숙인다. 찻잔을 들고 창밖을 내다보며 사색에 잠기는 계절이다.

시인을 가리켜 자연을 관조하는 사람이라 했다. 시인은 사람을 스승으로 삼기보다 자연을 스승으로 삼는다. 자연에 존재하는 생명체에 자기 자신을 비춰보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이 꽃이 되었다가 낙엽이 되고, 우렁이가 되고 지렁이도 된다. 차에 치여 죽은 고라니가 되어 가슴을 쓸어내린다. 짐승들만 차에 치여 죽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도 병들어 죽는 사람보다 횡사로 세상을 뜨는 사람이 더 많다. 죽는 줄도 모르고 뛰어다니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뛰어다니지 말고 천천히 걸어 다녀야 한다. 자연은 뛰어가지 않는다. 시계의 초침처럼 항상 같은 속도로 가야 한다. 세상 사람들이 자연을 관조하며 산다면 언어가 아닌 마음이 통하는 삶으로 즐거워할 것이다.



계절을 관조하는 삶을 살다 보면 흐르는 시간을 관조하며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자연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하루의 시간을 여행하는 즐거움도 있다. 아침에 뜨는 해를 바라보고 열심히 일하다가 가끔은 하늘을 걸어가는 해를 바라보면 해가 웃어준다. 아름답게 석양을 물들이며 지는 해를 바라보기도 하고 밤에는 달과 별을 바라보며 독백의 시간을 갖는 일을 가끔 즐기는 여유를 가질 수 있다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다. 시간을 관조하는 삶이란 항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더 나은 내일을 맞이하기 위한 경건한 시간을 마주하는 것이다.

혹시 좋은 소식이 있을까 하여 텔레비전 뉴스를 본다. 그런데 뉴스 속에 뉴스가 없다. 인간 세상에 있어서는 안 될 소리를 전해주고 있다. 개인마다 자기 의견을 발설할 수 있는 유튜브가 일상화되다 보니 맑은 물을 흐리게 하는 유튜버들이 난무하고 있다. 자연을 관조하는 삶은 미디어로 흔들리는 마음을 정화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가을 낙엽 진 나목의 침묵을 배워야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유형이 무형을 낳고 무형이 유형을 낳는다. 관조의 시간이 무형이라면 삶은 유형의 시간이다. 이제 와 관조의 의미를 더듬다 보니 인생의 시간도 저물어간다. 오늘은 배추를 거둔 밭에 나가 마늘을 심어야겠다. 나는 아버지처럼 서서 쇠스랑 질을 하고 아내는 어머니처럼 엎드려 호미질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겨울을 지나 내년 하지까지 남새밭을 지켜줄 마늘을 심어야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