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원도심 상권 거점 사라져…매각 수순 밟는 세이 백화점 가보니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르포] 원도심 상권 거점 사라져…매각 수순 밟는 세이 백화점 가보니

원도심 인프라 쇠태 '우려'
"인근 소상공인에겐 기회될 수도"

  • 승인 2022-04-11 16:36
  • 수정 2022-05-07 21:23
  • 신문게재 2022-04-12 5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세이
기자가 직접 세이백화점에 가보니 매장이 빠져 빈 점포가 많았다.
"생활용품 쇼핑하기에 세이백화점이 거리도 가깝고 해서 거의 매주 가다시피 이용했어요. 폐점하면 둔산이나 유성까지 나가야 하고, 거리에서 오는 심리적 부담감이 커질 수밖에 없어요."

중구에 사는 주부 한 모(46) 씨는 원도심 상권 거점인 세이백화점 매각 소식에 원도심 주민들의 인프라가 쇠퇴하는 것 아니냐며 하소연했다.

기자가 직접 세이백화점에 가보니 곳곳이 텅 빈 매장이 많아 한산한 분위기였다. 철수한 점포에는 영업을 종료한다는 안내 문구와 함께 옷걸이와 행거가 한쪽에 정리돼있었다. 일부 브랜드들은 SNS에 매장 이전 소식을 전했다. 매장을 지키는 직원들은 "백화점 영업을 언제까지 한다고 들은 바가 없다"라고 전했다.

세이백화점은 1996년 8월 개점 이후 5년 후 SAY TWO를 오픈, 지역내 아웃도어 전문관 등 4개의 패션몰을 추가로 오픈하며 사업확장을 했으나 이번에 본관과 SAY TWO를 매각하게 됐다. 2001년 8월 개관한 대형 영화관 멀티플렉스인 'CGV 대전 9'도 사라지며 원도심 주민들의 문화공간도 줄어들게 됐다.



중구지역 인근 주민들은 원도심과 신도심 인프라 격차가 더욱 심화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원도심 상권 거점인 세이백화점이 매각 절차를 밟는 것과 달리 신도심인 유성구엔 대형점포가 속속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엔 신세계백화점이 유성구 도룡동에 개점했으며 봉명동엔 복합쇼핑몰 '골든하이'가 오픈을 앞두고 있다.

이에 원도심에 거주하는 김 모(28) 씨도 "(세이백화점이 매각되면) 아무래도 영화관·쇼핑몰도 없어지니까 오가는 사람도 없어지고 인근 상권도 하나둘씩 없어질까 걱정된다"라며 "지하철이 다니는 공간인데 머물렀다 가는 곳이 아니라 그냥 스쳐 지나가는 곳이 되지 않겠냐"라고 말했다.

이와 달리, 인근 자영업자들의 반응은 상반됐다. 용두동 미르길 골목형상점가 남태숙 상인회장은 "백화점 대신 주상복합이 들어가니까 상인들은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세이백화점으로 유입됐던 소비자가 인근 골목형 상권으로 유입되고 주상복합이 들어오며 새로운 수요를 기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충남대학교 경영학과 정혜욱 교수는 "백화점은 쇼핑뿐만 아니라 문화·식사 등을 소비할 수 있는 공간이라 (대형점포 매각은) 소비자로선 아쉬운 면"이라면서도 "하지만 대형점포가 없어지면 인근 소상공인들에겐 (새로운 수요를 얻는) 기회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순천향대,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과 'AI의료융합 산업 생태계 조성 업무 협약
  2. 아산축협-아산먹거리재단, "우리 지역 제철 농산물 싸게 사세요"
  3. 음봉면-주민자치회, 위기가구 발굴 업무협약 체결
  4.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5.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1. 파주시,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 8월 1일 개원
  2. [서산다문화] 공예로 꿈을, 춤으로 마음을
  3. [시리즈]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②
  4. [부고]마정미 한남대 교수 시모상
  5. [서산다문화] 서산시가족센터, 가족문화카페

헤드라인 뉴스


한 발짝 남은 본지정… 대전지역 글로컬 소외 없어야

한 발짝 남은 본지정… 대전지역 글로컬 소외 없어야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 마지막 본지정 도전에 나선 대전지역 예비지정 대학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8월 11일까지 교육부에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가운데, 각 대학은 사업계획을 정비하며 막바지 총력전에 돌입했다. 올해 대전권 예비지정 대학은 충남대(국립공주대와 통합형), 한남대, 한밭대 등 3곳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은 글로컬사업 진입이 생존을 위한 절박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대전에서는 본지정에 성공한 4년제 대학이 한 곳도 없었고, 대전충남세종지역 거점국립대인 충남대마..

李정부 국정과제에 대전 현안 사업 담길까 촉각
李정부 국정과제에 대전 현안 사업 담길까 촉각

대전 현안 사업들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선정되며 동력을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행정당국은 추진에 난항을 겪는 사업들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쏟고 있는 만큼 어떤 현안이 얼마나 채택될 수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달 중순 전략과제와 국정과제, 세부 실천 과제를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예상되는 건 이재명 정부의 5개년 국정과제를 우선순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전략과제 20개와 국정과제 120여 개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 후보 시절 210조 원의 재원..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체감 `뚝`
대전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체감 '뚝'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의 7월 체감 경기가 바닥으로 고꾸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7월 말부터 소비쿠폰이 지급되며 현장에서 느끼는 소비 촉진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8월 전망치도 소폭 반등하는 데 그치면서 어려운 경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는 이들이 많았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시장 경기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느끼는 7월 경기 체감 지수는 모두 주저앉았다. 경기 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경기 파악을 통해 경기 변화에 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