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대전의 대학 건물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대전의 대학 건물

이희준 건축학박사(대전시문화재전문위원)

  • 승인 2022-06-22 15:50
  • 신문게재 2022-06-23 19면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이희준=건축학박사(대전시문화재전문위원)=수정본
이희준 건축학박사(대전시문화재전문위원)
우리나라의 근대화 과정에서 외국인 선교사들의 영향력은 매우 컸다. 특히 교육 선교에 큰 역할을 했던 선교사들이 많았다.

배재학당(현 배재대학교)을 설립한 아펜젤러, 조선기독교대학(현 연세대학교)을 설립한 언더우드, 이화학당(현 이화여대)을 설립한 스크랜턴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선교사들이 거주했던 주택들이나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건립한 근대양식의 교사(校舍)들은 그 중요성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데, 그 예로 연세대학교의 언더우드 가옥·핀슨관(국가등록문화재), 스팀슨관·언더우드관·아펜젤러관(사적), 이화여자대학교의 파이퍼홀·토마스홀(국가등록문화재), 배재학당동관(서울시 기념물) 등이 있다.

이 건축물들은 각 대학이 설립되고 발전해 온 흔적들을 간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근대기 건축양식과 구조·재료 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재들로 인정받고 있다.



대전의 대표적 사립대학들인 목원대학교와 한남대학교도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학교들이다.

목원대학교는 도익서(Dr. Charles D.Stokes) 선교사에 의해 1954년에 감리교대전신학원으로, 한남대학교는 인돈(William A. Linton) 선교사에 의해 1956년에 대전기독학관으로 각각 설립된 역사를 갖고 있다.

도익서 선교사와 인돈 선교사는 모두 대전에서 오랫동안 교육현장에서 봉사하였으며, 특히 인돈 선교사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건국훈장을 받기도 했다.

이 사립대학들의 역사는 각 학교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대전의 근대교육의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 대전에 13개의 대학이 자리 잡고 대전이 교육의 도시로서의 위상을 갖게 된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대학에는 그 학교의 시작과 발전과정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건축물들이 있다.

목원대학교에는 '한국감리교전시관(구 신학관)'이 있는데, 1956년 목동캠퍼스에 준공되었으며 목원대학교의 모태가 되는 초창기 건축물이다. 지금의 도안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철거되었으나 철거할 당시 복원을 계획하고 벽돌 한 장 한 장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였다가 2013년에 다시 복원하였다.

2층 규모로 단순한 형태의 빨간 벽돌로 지어진 '구 신학관' 건물은 1층 중앙출입구를 포치(porch)로 구성하고 지붕 중앙에 박공지붕을 설치해 정면성을 강조한 좌우 대칭형태로 근대기 우리나라 대학건축물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남대학교에는 설립자인 인돈 선교사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명명한 '인돈기념관'이 있다. 이 건축물은 미국인 건축가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1957년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2층 규모의 근대식으로 지어졌는데, 특이한 것은 지붕을 전통 한식기와로 올렸다는 점이다. 이후 3층으로 증축되는 과정에서 전통 한식기와지붕이 철거되고 평슬래브 지붕으로 변경되었으나 2010년에 지붕을 원래대로 전통 한식기와 형태로 개보수하였다.

'인돈기념관'은 미국인에 의해 설계되고 서구식 현대건축양식과 한국의 전통건축양식이 혼합된 형태로 건립 당시의 건축기술과 서양인에 의해 한국의 전통을 반영하고자 했던 고민의 흔적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대전에 첫 대학이 설립된 지 70여 년이 흘렀다.

캠퍼스마다 현대식 건물을 새로 지으며 외형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는 이때, 각 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건축물에 좀 더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대전의 대학건물 중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1958년에 건립된 '충남대학교 구 문리과대학건물(2018년 국가등록문화재 지정)'이 유일하다.

대전의 오랜 대학교육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더 많은 건축물이 문화재로 지정되길 기대해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