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기름값 6일 연속 하락세... 국제유가 하락, 유류세 인하폭 확대 등 요인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세종·충남 기름값 6일 연속 하락세... 국제유가 하락, 유류세 인하폭 확대 등 요인

6월 30일 대전·세종·충남 모두 최고가 경신 이후
7월 1일부터 하향세 접어든 이후 6일 연속 인하
국제유가 하락·정부 유류세 인하폭 37%로 확대
당분간 기름값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

  • 승인 2022-07-07 16:53
  • 신문게재 2022-07-08 7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기름넣는
대전·세종·충남 기름값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폭 확대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6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7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에 따르면 6일 기준 대전의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평균 2107원으로, 전일보다 8원 내렸다. 세종도 이 기간 2121원에서 2114원으로 7원, 충남은 2124원에서 2121원으로 3원 각각 인하했다. 오피넷이 지역 휘발유 가격을 조사하기 시작한 이후로 최고가를 기록했던 6월 30일을 기점으로 지역 모두 가격이 6일 연속 하락세로 접어들고 있다. 6월 30일 대전의 휘발유 가격은 2144원, 세종은 2154원, 충남은 2143원으로 전보다 가격이 내렸다.



경유도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의 경유 가격은 리터당 평균 2149원으로, 전일보다 4원 인하됐다. 세종도 2155원에서 2150원으로 5원, 충남은 2151원에서 2149원으로 2원 내렸다. 경유도 6월 30일을 최고점을 기점으로 점차 가격이 내림세를 이어간다. 6월 30일 기준 대전은 2174원, 세종은 2176원, 충남은 2163원으로 각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연일 하락을 유지 중이다.

휘발유·경유 하락에는 정부가 7월 1일부터 유류세 인하 폭을 기존 30%에서 37%로 확대했기 때문이다. 기대치보다 가격 내림세가 더딘 데는 일반 주유소까지 인하 폭을 적용받으려면 1~2주가량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국내 정유 4사 직영 주유소와 알뜰주유소 판매 가격은 유류세 인하분을 즉시 반영하지만, 일반 주유소까지 가격이 반영되려면 다소 시일이 걸린다. 일반주유소는 기존 재고를 소진한 뒤 순차적으로 인하분을 반영해 소비자가 체감하기엔 시일이 다소 걸린다.



국제유가 하락도 당분간 가격 내림세에 한몫할 것으로 전망된다. 7월 6일 기준 휘발유(92RON) 국제유가는 120.99달러로, 전날(138.43달러)보다 17.44달러 하락한 상황이다. 6월 10일 당시 155.73달러로 최고가를 기록한 이후 추가 하락이 계속되고 있다. 국제 경유(0.001%) 가격도 7월 6일 기준 149.43달러로, 전날(163.06달러)보다 13.63달러 내렸다. 6월 21일 최고가를 기록한 186.08달러와 비교하면 하락세가 지속 중이다. 국제유가도 일반 주유소까지 반영되려면 2주가량의 시차를 거치지 때문에 유류세 인하 확대와 국제유가 가격 반영이 맞물리는 7월 중순께는 휘발유·경유 가격 하락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내려왔고, 정부의 유류세 인하 폭 확대가 맞물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큰 이변이 없는한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7월까지 가격 안정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