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56]첫 증언자가 지목한 제천 국악단체 ‘연습장소’ 집주인의 후손도 찾았다

[10년간의 취재 기록-56]첫 증언자가 지목한 제천 국악단체 ‘연습장소’ 집주인의 후손도 찾았다

속수승평계 서열 3위인 이건연은 어떤 인물일까?
이건연, 청풍승평계 등 국악단체 창단 배경 글로 남겨
이건연, 서언 통해 “국악의 세계화와 대중화에 앞장서야”

  • 승인 2023-01-14 23:45
  • 수정 2023-08-30 20:02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2022012501001716700056532
'이장용 선생(90·제천시·국악단체인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이 기억으로 직접 그린 속수승평계(1918년) 연습장소(빨간색 부분)'. 그가 그린 연습장소는 이건연 속수승평계 서열 3위의 간부급 단원 집으로 추정된다. 이건연의 4대 후손은 "증조할아버지 집에 가야금 등이 있었고 사람들이 수시로 와, 연습했다"고 첫 증언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제천 청풍승평계 흔적 찾기'의 끝은 깊고도 넓다. 어쩌면 지금이 끝이 아닌, 시작일 수 있다.

본보가 이번엔 우리나라 최대규모로 알려진 국악단체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과 그 인물의 후손을 처음으로 찾아냈다.



중요 인물은 '서열 3위'로 알려졌지만, 국악단체의 실질적인 핵심 인물이다. 무엇보다 그는 가상의 인물이 아닌, 실존 인물이었다.

본보는 서열 2위였던 '이태흥(李泰興·1871~1940년)'에 이어 서열 3위인 인물을 처음으로 보도한다. 그로 인해 청풍승평계와 속수승평계의 국악단체 조직 배경과 가치 등의 숨은 베일이 조금씩 벗겨지고 있다. 청풍승평계는 어떤 국악단체였고, 어떤 이유로 창단된 것일까. 또 서열 3위의 그의 후손은 또 어떤 얘기를 들려줄까. 제천 국악단체의 실체가 조금씩 그 신비로움의 베일을 벗겨내고 있다.



본보가 1년 6개월가량 청풍승평계와 속수승평계를 추적한 결과 우리나라 최대규모 국악단체로 알려진 청풍승평계 단원이자, 속수승평계 우두머리 간부급 단원인 서열 3위는 이건연(1875~미확인)이다. 이건연은 국악단체의 창단 배경 등을 글로 남긴 인물이다.

청풍승평계(1893년 창단)에서 속수승평계(1918년 재창단)로 자리를 옮긴 이건연은 제천군지에 '1918년도 속수승평계를 조직하면서…'라는 서언(책 등의 첫머리에 책을 펴내게 된 동기나 경위)을 남긴 것이다. 이건연은 실존 인물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후손들이 드러나지 않아서다. 그러나 이건연의 후손이 본보 취재결과 드러나면서 그의 존재도 밝혀졌다.

이건연은 서언을 통해 이런 글을 남겼다.

"승평계의 설립이 계사년(癸巳年) 1893년 중춘(仲春·완연한 봄)이다. 음악의 운율은 (제천)청풍호 경치와 일치하고 음악하기 좋은 곳이다. 청풍승평계 단원들의 악기비용, 활동비용 등은 속수승평계에서 더 증액한다. 이런 내용은 청풍지역 현인들, 즉 유지들과 논의했다. 논의결과 청풍승평계에서 받았던 10냥을 속수승평계에서 2원으로 책정한다. 풍소재자(風騷才子), 즉 풍류객은 이 '악(樂·청풍승평계)'을 교훈 삼아서 영원토록 전승하라. 다음 세대는 청풍승평계를 보고 느껴서, 국악의 세계화와 대중화에 앞장서야 한다. 1918년 4월 16일 이건연의 서(緖)"라고 글을 남겼다.

이건연은 국악단체의 창단 배경과 연습 장소, 악기분포, 단원들의 활동, 악단 규칙 등을 자세하게 글로 설명해 놨다. 특히 이건연은 서언 말미에 국악의 세계화를 강조했는데, 현재 우리나라 국악은 이미 'K- 국악'으로 발전된 상황이다.

'이건연' 직계 4대 후손(後孫)인 증손녀 A(여·88)씨는 본보와의 첫 구술증언을 통해 "집에는 가야금과 아쟁 등이 있었지만, 큰 장마와 수몰 등으로 악기 등은 현재 모두 없어졌다"며 "증조할아버지(이건연) 선후배들이 집에 수시로 찾아와 악기 등으로 연습했다고 증조할머니와 할머니 등에게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조할아버지(이건연)은 전국에서 유명했던 인물로 알고 있다"며 "증조할아버지뿐만 아니라 국악단체 역시, 전국에서 중요한 (국악)단체였다고 들었다"고 강조했다.

이건연의 증손녀인 A 씨는 '1918년 속수승평계 첫 증언자인 이장용(90) 선생과 같은 마을(제천시 청풍면 읍하리)에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장용 선생은 지난해 1월, 본보와의 첫 인터뷰에서 속수승평계 단원들의 연습장소와 불과 100m거리에 거주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장용 선생이 지목한 단원들의 연습장소가 이건연의 집으로 알려졌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