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일의 세상 읽기]챗 GPT 세상을 살다

  • 사람들
  • 뉴스

[한성일의 세상 읽기]챗 GPT 세상을 살다

  • 승인 2023-03-01 23:41
  • 수정 2023-03-17 23:02
  • 신문게재 2023-03-16 18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반명함
'K 막장 드라마' 만들어달라 주문에 1분 만에 '뚝딱'

챗 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이야기다.

챗 GPT는 오픈 에이아이(Open AI)가 2022년 11월30일 공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Chatbot)이다. 챗봇(Chatbot)은 ‘chatter(수다를 떨다)’와 ‘robot(로봇)’의 합성어로, 인간과 로봇이 대화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이다. ‘Chat’은 채팅의 줄임말이고 ‘GPT’는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의 앞글자이다.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춰 대화를 함께 나누는 서비스다.

데이터의 양을 늘려주니 기계가 세상을 알아보기 시작했다. 그렇게 기계의 딥러닝(심화학습)이 시작됐다. 딥러닝으로 진화한 챗 GPT는 집중(Attention) 알고리즘을 통해 인터넷에 있는 모든 문장을 학습했다. 단어와 단어 사이, 문장과 문장 사이의 '확률 관계'를 미리 학습했다. 그 덕택에 맥락을 파악해 다음에 나오는 문장을 답할 수 있게 됐다.



국내의 대표적인 뇌과학자로 손꼽히는 김대식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가 질문하고 챗 GPT가 대답한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기술발달로 표절 문제도 쉽게 가려질 것이지만 가짜뉴스 기반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챗 GPT 때문에 작가, 교수, 기자, 변호사가 없어질 것 같진 않지만 챗 GPT를 잘 사용하는 작가, 교수 등 때문에 그렇지 않은 작가, 교수는 사라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챗 GPT 제작사 오픈 AI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샘 올트먼 와이컴비네이터 사장(현 오픈 AI CEO) 등이 인류에게 도움이 될 디지털 지능 개발을 목표로 2015년 설립한 비영리 법인이다. 그러다 2019년 영리 추구를 위한 자회사를 추가 설립하면서 AI 사업을 본격화했다. 오픈 AI 설립자 머스크는 2018년 오픈 AI 이사회에서 전격 사임하면서 보유하고 있던 지분도 마이크로소프트(MS)에 매각했다. 챗 GPT는 인간과 비슷한 대화를 생성해 내기 위해 수백만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전 훈련된 대량 생성 변환기를 사용하고 있다.

챗 GPT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물론 논문 작성, 번역, 노래 작사 작곡, 코딩 작업 등 광범위한 업무 수행까지 가능하다. 챗 GPT는 방대한 Data 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하지만 챗 GPT가 내놓는 정보의 신뢰도에는 한계가 있어 잘못되거나 왜곡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견되고, 2021년 이후의 지식은 제한돼 있다는 한계도 있다.

챗 GPT의 등장은 정보기술(IT) 업계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데, 특히 현재 글로벌 검색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구글에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챗 GPT는 언어의 내비게이션이고, 강력한 인공지능의 티저(teaser.다음에 이어질 내용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면이나 광고 또는 제목.예고편)와 같다고 평가받고 있다.

챗 GPT는 교육, 산업, 언론 등 사회 전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특정한 조건을 입력하면 1분 만에 'K-막장 드라마'를 쓰고, 고등학생 수준부터 박사 수준까지 다양한 에세이를 쓸 수 있다. 또 엄청난 양의 문서를 순식간에 단 1~2장으로 요약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챗 GPT가 만능은 아니다. 거짓말을 너무나 스타일리시하게 잘 만들어내고, 가짜 뉴스를 그럴싸하게 표현하고, 그걸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챗 GPT 세상을 사는 우리, 흥미롭고 재미있는 세상을 사는 주인공들이다. 영어 위주 챗 GPT에 맞서 KT, 카카오, 네이버에서 한국형을 내놓는다니 기대해본다.

한성일 편집위원(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홍대용과학관, 8일 개기월식 온라인 생중계 운영
  2. 거제시, 추석 맞아 거제사랑상품권 20억 특별할인 판매
  3. [날씨]200년 빈도 폭우 쏟아진 서천…시간당 137㎜ 누적 248㎜
  4.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5. 충청권 ‘노쇼 사기’ 올해만 464건·피해 67억원… 검거는 3명뿐
  1.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2. KAIST 교직원, 법인카드 이용 횡령 의혹… 경찰 수사 착수
  3.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4. 8일부터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전년과 달라진 점은?
  5. [2026 수시특집-우송대] 지역 한계 넘어 세계로… 국제화 역량·특성화 교육성과 입증

헤드라인 뉴스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속보> 보건복지부가 뇌졸중과 파킨슨병으로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필요한 병상 총량을 내년부터 대전에서 26%, 충북에서 30% 감축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2024년도 한 해의 환자 통계를 가지고 기계적으로 병상 수를 조정하면서 인구 적은 광주 목표 병상수는 62% 오히려 증가해 대전 인구 1만명당 4.05병상일 때 광주는 6.3병상으로 불평등이 발생할 소지가 커졌다. 7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제3기 재활의료기관 지정 예고 고시문에 대전과 충북에서만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병상을 감..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빠르면 이번 주 국회에 제출된다. 두 시·도는 실질적인 지방정부 구현을 강조하며 통합에 속도 내고 있는 가운데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와 정부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이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시·도와 성일종 의원실은 현재 여야 의원 50명 이상을 공동 발의자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남을 통해 행정통합 추진을 위..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자동차와 조선업 분야에서 노조 파업이 잇따르면서 '노조 파업 전성시대'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연관성을 부정하며 긴급 진화에 나섰지만, 지역 경영계는 법 통과가 노조파업의 도화선이 됐다고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국내 주요 자동차·조선업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줄줄이 파업을 선언했다. 노사 갈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양상이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4일 설명회를 열고 "이번 파업은 임단협 과정에서 임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