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매사에 감사, 조영석 그림 <목기깎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매사에 감사, 조영석 그림 <목기깎기>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3-04-28 10:03
  • 수정 2023-04-28 10:05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전통행사에 참여하다 보면 다양한 제기(祭器)와 만나게 된다. 공공제례(公共祭禮)에는 주로 놋쇠 제기가 사용된다. 공공제례는 왕가와 종묘, 관가와 대성전(大成殿) 및 향교, 유림(儒林)과 서원 등에서 이루어진다. 민간제사에는 특정 모양의 나무, 사기, 놋쇠 그릇이 사용되었다.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고, 빌려 사용하지도 말라 하였다. 팔지도 못하며, 폐기 시에는 땅에 파묻었다. 물론, 살아생전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써도 무방하다 하였다. 신분이나 가세에 따라 재질이 다른 제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달리하기도 하였는데, 묘제(墓祭)에는 목기를 많이 사용하였다. 가벼워 운반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목기 사용에 대하여 송시열(宋時烈)선생은 검소하고 값도 싸, 집에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하였다. 현대로 올수록 경계가 사라진다. 당연히 제사 때만 사용하는 기물도 있다. 지방틀, 향합, 향로, 촛대 등이다. 요즈음엔 그런 것 제외하고,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그릇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보인다.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공들인 탓일까? 제기 모양은 아름답다. 삼십여 년 전까지 제사에 목기를 사용하였는데 퍽 인상적이었다. 모양도 모양이지만, 그대로 드러난 나무 나이테의 우아한 무늬가 지금도 눈에 선하다.



세상에 쉬운 일이 있으랴만, 목기도 쉽게 탄생되지 않는다. 우선 재질이 단단하고 고운 무늬가 있는 나무여야 한다. 오리나무나 물푸레나무가 선택된다. 성장이 멈춘 늦가을이나 겨울에 채취한 나무가 좋다. 기왕이면 고산지대에서 자라야 한다. 일정 건조기간이 지나면 목기 만들기에 적합한 크기로 자르고 수피를 제거한다. 갈이틀(선반)로 초벌 깎기를 한다. 옻나무나 가시나무 수액에 담가 고루 배이게 한 다음 건져내어 음지에서 말린다. 이 때 갈라진 것은 폐기하여 화목 등으로 사용한다. 재갈이 한 다음, 옻칠을 한다. 얇고 고르게 여러 번 바르는 것이 관건이다. 대여섯 번 칠한다. 예전엔 붓으로 칠 했으나 이제 분부기를 사용한다. 옻은 방수와 방열, 방충효과가 뛰어난 명품도료이다.

무거운 탓에 나무 옮기기도 쉽지 않다. 첨단 공작기계가 많이 나와 있지만, 자동톱과 선반 정도만 사용한다. 매순간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목수 손은 손가락이 다 붙어있는 경우가 드물다. 다 붙어있어도 틀어지거나 마디가 굵어져 보기 흉하다. 톱밥과 나무먼지도 만만치 않다. 먼지가 온몸에 뒤덮이고 콧구멍에 가득하다. 목에도 걸려있다. 나무라서 그런지 폐에 영향을 주진 않는 모양이다. 그나마 다행이다. 옻은 어떠한가? 잘 못 만지면 간지럼에 시달리고 상처로 남는다. 하나하나가 극한 작업이다.



rmfla
옛날에는 어땠을까?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 ~ 1715)와 조영석(觀我齋 趙榮?, 1686 ~ 1761)의 그림 <목기깎기>가 그를 보여준다. 조영석이 18살 아래다. 그림으로 보아 둘 사이에 별 관계는 없어 보인다. 윤두서 그림은 회전축이 발에 의해 돌아가고, 조영석 그림은 손으로 돌린다. 깎는 모습이 신기했던지 두 사람 모두 작동원리가 잘 보이도록 구도를 잡았다. 조영석의 <목기깎기(23.0 × 20.7㎝, 개인소장)>를 감상해보자.

조영석은 화가 정선(鄭敾), 시인 이병연(李秉淵)과 이웃해 살며 교유하고 시화를 논하였다. 인물화에 두각을 나타냈다. 덕분에 1735년 세조 어진 모사 명을 받았다. 기술로 임금 섬기는 것은 선비의 도리가 아니란 생각 때문에 사양하였다. 때문에 수개월 옥고를 치르고 절필하였다. 1748년 숙종 어진 도사(肅宗御眞圖寫)의 감동관(監董官, 감독관)으로 참여하라는 명에 따라 결국 감동이 되었다. 윤두서와 더불어 조선 후기 풍속화를 이끌었으며 관찰과 사생을 중히 여겼다.

그림은 풍속화, 영모화, 초충도 15점을 묶은 《사제첩(麝臍帖)》에 실려 있다. 사제는 사향노루의 배꼽이다. 화첩 그림은 완성도가 제각각이다. 때문에 그리다 만 것으로 보이는 것이 있는가 하면 수작도 있다. 습작을 모아 놓은 것인지 표지 한편에 이렇게 써놓았다, "남에게 보이지 말라, 어기는 자는 내 자손이 아니다.(勿示人, 犯者非吾子孫.)"

각설하고 그림을 보자. 나무 아래, 윗옷을 벗어젖힌 두 사람이 작업에 열중이다. 벗은 옷은 나뭇가지에 걸어 두었다. 살랑살랑 바람에 나부낀다. 한 사람은 나무틀에 지탱한 갈대로 나무를 깎고 있다. 다른 한 사람은 회전축에 피대를 걸어 돌린다. 두 사람 모두 깎이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한쪽엔 날이 다른 갈대, 끌, 자귀 등이, 맨 앞쪽엔 탕개톱이, 그 사이에 깎아 놓은 것으로 보이는 제기가 서너 개 보인다.

그림에는 힘든 내용과 과정이 없다. 그 이면에 얼마나 많은 난관이 있는지 모두에 언급한 내용으로 그려보자. 제사는 앞사람의 뜻을 기리고 받들며 은덕에 감사하는 일이다. 감사 대상이 어디 선조뿐이랴? 우리는 누군가의 수고로움으로 아름다움과 안식을 즐긴다. 매사에 감사해야 할 이유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1.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2.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3.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헤드라인 뉴스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

"잘 보고 와요~" "선배님들 화이팅" 2026학년도 수학능력시험 당일인 13일 오전 7시 20분 홍성고(충남교육청 제65지구 제1시험장) 앞은 후배들의 열띤 응원과 따뜻한 말 한마디가 오갔다. 수능 한파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춥지 않은 날씨 덕에 수험생들은 옷차림을 가벼웠지만 긴장한 탓인지 표정은 굳어있었다. 배웅에 나선 가족들은 자녀가 시험장에 들어가는 것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한동안 발을 떼지 못했다. 자녀를 수험장에 들여보낸 한 학부모는 "왜 제가 긴장되는지 모르겠다. 아이가 그동안 열심히 공부한 만큼 후회 없는 성과가 나왔..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대전지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경찰에 붙잡혔다. 뇌물을 건넨 임대사업자도 함께 구속됐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최근 대전지역의 한 주택재개발조합에서 사업권 낙찰 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조합장 A(70대)씨와 임대 사업체 대표 B(50대)씨 등 2명을 구속하고, 브로커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대전지역 주택 재개발 조합의 임대아파트 사업권 낙찰을 위해 뇌물을 수수하거나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임대사업자 A씨는..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