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묘지의 도시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묘지의 도시

김병윤 전 대전대 디자인·아트대학장

  • 승인 2023-05-24 09:20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0524090014
김병윤 전 학장
도시의 탄생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갈래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에 결코 만족한 적이 없는 인간이기에 도시를 만든 호모우르바누스는 우리 자신이며 도시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이다. 인간의 생존과 욕망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도시의 역사는 먼저 이룬 도시의 중요함을 바탕으로 새롭게 구축하는 집합 구조라 할 수 있다. 문명의 시작점에 도시가 등장하였고 도시의 등장에 따라 역사가 시작되고 그곳에서 문명은 꽃을 피운다.

따라서 도시의 영역들은 우리의 생각에 따라 달라지는 전환점이란 가능성을 믿고 현실적인 변화의 증명이 된 도시의 장소를 생각해 본다. 지중해를 바라보는 프랑스의 세뜨라는 도시는 언덕을 지니고 있고 지중해를 내려다보는 이른바 해변의 묘지로도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기력에 좋다는 굴 요리가 유명하며, 시인 폴 발레리의 고향이기도 하고 그의 묘지가 바로 이곳에 있다. 폴 발레리의 시집 '해변의 묘지'는 지중해를 바라보는 죽은 자들의 도시를 암시하며, 산자의 공간 바로 옆에 같은 눈높이로 바다를 바라본다. '바람이 분다…살아야겠다…날아가라 온통 책장들이여…' 해변의 묘지에 일부 글귀에서 바다를 통해 도시에 토해내는 그의 언어들이 지붕 아래 살아가는, 자연에 대해 상대적인 우리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 작은 해변 도시 세뜨는 작은 만큼 아름답고 작지만 커다란 부호로 우리를 달래주고 있다. 또한 근대건축의 대가인 프랑스 건축가 르코르뷔지에는 지중해가 바라보이는 로크부륀(Roquebrune Cap Martin)을 그의 마지막 종착지로 삼았다. 롱샹교회와 라 투레트 수도원, 아마도 맨 첫 번째 소위 주상복합 사례라 해도 무리가 없을 마르세유의 유니떼 다비따시옹(공동주택), 인도 찬디갈의 선도적 신도시계획과 국회의사당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기념비적인 건축 유작을 남긴 그도 마지막 선택은 작은 오두막(카바논)과 이곳에 자신의 묘지를 남겼다. 로크부륀 마르땡의 묘지와 르코르뷔지에의 다섯 평 오두막집이 바로 그가 자신을 위해 남긴 마지막 최소의 공간이다. 호방한 젊은 시절 르코르뷔지에가 제시한 3백만을 위한 현대도시와 빛나는 도시(빌라 라호즈)계획은 지금 지구를 아파트로 덮는 도화선이 되었고 유니떼 다비따시옹은 공동주택의 전설을 넘어 두 세기의 시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 그가 잠든 이 도시의 관심 사항은 역시 바다를 보는 묘지이다. 마치 섬 안의 물처럼 도시 안에 같이 둔 해변의 묘지로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곳이 되었다. 어느 날 아침, 꽃을 든 노부인을 따라가니 바로 이웃한 가족의 묘지에 꽃을 두는 것으로 그녀의 일과가 시작되고 있었다.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너무도 뚜렷한 우리의 정서가 상대적으로 조금 차갑게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문명의 물 동아리인 지중해를 둘러싸고 페니키아의 해양 문화, 페르시아의 제국시대, 그리스의 학예, 로마의 정치, 비잔틴의 종교시대가 차례로 이어지는 지중해 지배의 시대를 통해 많은 폴리스(도시국가)가 이루어졌고 건축은 흙으로 시작해 돌을 세움으로 웅대한 성소와 장제전이 되었다. 인간의 존망이 신의 영역에 있을 때와 르네상스의 인본주의로 바뀌는 시기까지 여전히 도시의 배아는 성소였으며 유토피아(이상도시)의 새로운 신념을 구현하기 전까지 도시는 여전히 그 모습을 바꾸지 않았다. 우리의 도시가 자동차와 그 기계들이 머무는 장소를 건축안에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도시를 가꿨지만 점점 삭막해져 가는 도시의 진정한 온기는 아직 채워지지 않고 있다.

가슴에 담고 싶은 도시, 벽이 좀 없는 도시. 가보고 싶은 도시, 걸어보고 싶은 도시, 다시 돌아오고 싶은 도시, 그곳에 쉬고 싶은 도시, 태어나 살고 싶은 도시, 그림처럼 가슴에 박히는 도시, 그런 도시를 조금씩 열어보자. 생각하면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는 폴 발레리의 얘기를 빌려 우리 도시를 위해 나 자신이 먼저 생각해야 한다. 내가 원하는 도시를 말해보자. / 김병윤 대전대 전 디자인아트대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