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부자무친의 후과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부자무친의 후과

실패를 만드는 다릿목

  • 승인 2023-05-27 18:42
  • 수정 2023-05-27 19:2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연세가 지긋한 지인 어르신을 뵈면 늘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논하신다. 삼강오륜은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를 의미한다.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과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을 통틀어 이른다.

모두 중요하고 실천해야 하지만 오늘은 여기서 '부자유친'만을 호출한다. 토머스 에디슨은 발명왕이다. 그는 생전에 1,000개가 넘는 발명 특허를 취득했고 인류의 삶을 바꾼 발명품들도 수두룩하다.

그래서 지금도 세인들의 칭송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의 가정사는 그렇지 못했다. 그는 발명과 사업에 몰두한 나머지 가정에 소홀한 아버지이자 배우자였다. 그는 가족들과 소통이 없었고 심지어 첫 번째 부인이 세상을 떠났을 당시엔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에디슨은 3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들에게도 에디슨은 없는 사람이나 마찬가지였다. 에디슨의 첫째 아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팔아 사기를 쳤고, 둘째 아들은 사업에 거듭 실패하며 에디슨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해 사는 처지가 됐다.

셋째 아들은 훗날 정치인으로 성공했지만, 아버지와 함께 한 시간이 거의 없었다고 회고할 정도로 에디슨과 자식들의 관계는 소원하기만 했다. 유명인의 자식 실패담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미국의 두 번째 대통령 존 애덤스는 하버드 대학을 나오고 변호사로도 이름을 날렸다. 그렇지만 그의 세 아들 중 둘째와 셋째는 엄격한 아버지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다 둘 다 알코올 중독자가 됐다.

심지어 둘째 찰스는 방탕한 생활 끝에 빚까지 지고 아버지가 대통령으로 재직 중인 1800년 서른 살에 간경화로 요절했다. 셋째 토머스도 평생 알코올 중독과 빚에 시달리다 죽었다.

'자식과 골프는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여기서도 이런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자녀 특혜 채용' 의혹을 받아온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장관급)과 사무차장(차관급)이 사퇴했다.

선관위 1·2인자의 동시 사퇴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그럼 이들은 왜 이러한 불명예를 안았는가?

보도에 따르면 모 사무총장의 딸은 광주 남구청에서 근무하다 지난해 선관위에 채용됐고, 모 사무차장의 딸도 충남 보령시 공무원으로 일하다 2018년 선관위에 채용됐다고 한다.

선관위 측은 처음에 "어떤 특혜도 없었다"고 했지만, 자체 조사를 시작한 지 11일 만에 두 사람은 사퇴했다고 하니 이는 시쳇말로 '안 봐도 비디오'다. 이러한 소위 '아빠 찬스'는 이 땅의 젊은이들로 하여금 분노를 넘어 "이생망"이라는 유행어까지 회자되며 좌절의 늪으로 밀어 넣는 단초까지 될 수 있다.

지난 2월 경찰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된 정 모 변호사는 아들의 학교폭력 논란이 불거지자 불과 임명 하루 만에 사퇴했다. 당시 세인들은 그를 일컬어 "조국(사태)보다 더 나쁘다"며 성토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보다 자녀가 잘되길 원한다. 그러자면 조건이 있다. 본인부터 깨끗하고 볼 일이다. 공직자라고 한다면 투명한 수준까지 보여준다면 금상첨화다.

부자유친(父子有親)은 부모는 자식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라는 말이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친함의 관계는 구체적으로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를 다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와 반대인 부자무친(父子無親)은 유명인의 자식 실패를 만드는 다릿목이 아닐까. 결론적으로 이른바 '아빠 찬스'의 후과(後果)가 바로 '부자무친'이다.

홍경석/ 작가, <두 번은 아파 봐야 인생이다> 저자

두아빠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