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인공지능(AI)과 문화예술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인공지능(AI)과 문화예술

이희성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수

  • 승인 2023-06-14 08:49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0613152738
이희성 교수
생성형 AI와 제대로 된 대화의 물꼬를 트기도 전에 세계 최대 화랑인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 AI의 그림이 걸렸다. 엄밀히 말하면 다큐멘터리 감독 베넷 밀러가 AI에 주문해 몇 초 만에 생성한 그림의 피그먼트 출력물이다.

이처럼 인공지능기술은 기계가 인간의 고유영역에 침투하고 인간과 경쟁하는 일이 현실이 될 수 있으며, 또 예술이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는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사건이라는 점에서 문화예술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그러면 인공지능(AI)은 문화예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문화예술콘텐츠의 미래 시나리오(고정민 외.2020)' 논문에서는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시나리오는 인공지능의 창의성이 인간의 창의성을 넘어서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인공지능의 창작과 작품의 관리가 가능한 영역으로 정리될 것이다. 이 시나리오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는 SF영화 'AI'에서 묘사한 인간과 로봇의 관계 정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인공지능의 창의성이 인간을 추월하진 못했으나 인공지능의 작품을 관리하지 못하는 영역으로 혼돈상태가 될 수 있다. 영화 '엑스 마키나(Ex Machina)'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 행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이 시나리오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아직 인공지능의 창의성이 인간의 창의성을 넘어서지 못한 점에서 혼돈의 시대이지만 관리가 가능한 점에서 아직 파멸의 단계에까지는 이르지 않은 상태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세 번째 시나리오는 인공지능의 작품이 인간의 창의성을 넘어서고 인간이 이 과정과 작품을 통제할 수 있는, 즉 인간 예술가와 인공지능 예술가가 공존하는 인간 유토피아 시나리오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바이센티니얼맨(Bicentennial Man)'은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묘사한 영화로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시나리오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창의성을 넘어서는 작품을 만들어내고 인간이 이를 관리 통제하지 못하는 기계 유토피아 시나리오다. 이는 파멸의 시나리오로 인간 예술가는 설 자리를 잃으며 문화예술이 인공지능에 의해 주도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것이다. 영화 '아이로봇(I, Robot)'이나 '웨스트 월드(West World)'에 나오는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로 이로 인해 문화예술 산업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현재로선 어려운 일이다. 인간과 기술이 조화롭게 공존한다면 인공지능기술은 문화예술의 창작·유통·소비 측면에서 새로운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로 작용하겠지만, 경우에 따라선 예술가를 대신하는 위협적인 상황이 펼쳐질 수도 있다. 어떠한 미래가 도래하느냐는 기술의 발달 방향과 이에 대한 우리의 관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좀 더 오래 전으로 돌아가 보자. 1826년 사진기가 발명됐을 때, 기계의 힘을 빌어 만들어낸 시각적 이미지(사진작품)에 대해 사진기술을 과학으로 받아들여 사진은 한동안 예술과 벽을 쌓았다. 사진예술가는 '붓칠 한번 안 한 놈이 무슨 예술가냐'라며 온갖 조롱을 받았다. 이후 몇 십년이 훨씬 넘어서야 본격적으로 사진이 대중의 사랑을 받기 시작했고, 시각예술의 발전을 견인했다. 1960년 대중 미디어의 보급과 함께 비디오아트가 등장했고 백남준이라는 세기의 예술가를 탄생시켰다. 현재의 미디어아트는 이런 기반에서 발전할 수 있었다.

결국 새로운 기술은 각 시대를 대표하는 매체를 생성하고 예술은 그 매체를 통해 대중을 만나면서 기존 예술작품의 원본성과 일회성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AI)를 이겨 먹느냐, 동료가 되느냐가 아닌 창작자로서 존엄과 자존심, 도덕성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인간다움'은 창작의 기술에 있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시각과 관점, 책임감과 이타심 같은 인간적인 감정 그리고 '나는 어떤 창작자인가'를 끊임없이 고뇌하려는 태도에 있다.

/이희성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