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맨발 걷기 혹은 대지와의 접촉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맨발 걷기 혹은 대지와의 접촉

이은봉(시인·광주대 명예교수)

  • 승인 2023-12-20 08:44
  • 수정 2024-02-06 10:42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31219234558
이은봉 시인
아득한 옛날부터 인간은 세계와 직접 연결된 채 살아왔다. 나와 세계가 하나인 채로 살아왔다는 것이다. '나와 세계'가 하나라는 말을 '세계와 나'가 하나라고 말한들 어떠하랴. 선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주체와 객체가 하나라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이를 두고 어떤 이는 물심일여(物心一如)라고 하고, 어떤 이는 주객일체(主客一體)라고 한다. 물심일여이든 주객일체이든 물론 이는 세상이 다 하나라는 것을 내포한다.

더러는 이로부터 비롯해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일체유심조가 부처님의 말씀이라고 하더라도, 그리고 유심(唯心)이 일체(一切)보다 선행한다고 하더라도 이 말은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가리킨다. 어떻게 말하더라도 이들 논의는 '나와 너', '나와 그'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때의 다르지 않다는 것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서로 순환하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함유한다.

그렇다면 지금의 인간이 나날의 삶을 물심일여로, 주객일체로 살아가고 있는가. 예의 질문에 대해서는 누구라도 긍정적인 답을 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것이 사실이다. 물(物)과 심(心)이 분리된 채, 주(主)와 객(客)이 어긋난 채 서로 끊임없이 길항(拮抗)하고 갈등하며 살아가는 것이 오늘의 삶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물(物)이나 객(客)의 구체적인 모습은 일단 대지며 자연이라고 해야 마땅하다. 지금의 인간은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물론 대지며 자연과의 관계에서도 형편없이 분리되고 파괴된 채 살아가고 있다. 거대한 도시 서울이나 대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현실을 보라. 그들의 삶이 지구라는, 대지라는, 자연이라는 생명공동체와 과격하게 격리된 것은 분명하다.

지금 그들은 자신들의 도시 위에 두꺼운 아스팔트를 깔고, 보도블록을 깔고, 시멘트 콘크리트를 깐 채 지구라는, 대지라는, 자연이라는 생명공동체로부터 근본적으로 소외된 채 살아가고 있다. 이들의 삶이, 이들의 몸이 제대로 자신에게 주어진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겠는가. 이처럼 철저하게 대지며 자연과 차단된 채 살아가는 이들의 몸이 땅의 정기를, 흙의 활기를 제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 리 만무하다. 따라서 아스팔트 위를, 보도블록 위를, 시멘트 콘크리트 위를 거쳐 고층 건물 속에서 굽 높은 구두를 신고 살아가는 이들의 몸이 쉽게 찌그러지는 것은 당연하다. 지구라는, 대지라는, 자연이라는 생명공동체와 바로 호흡하지 않고 온몸의 혈기가 제대로 순환하기는 불가능하다.

다행히 최근 들어서는 사람들 사이의 땅이며 흙과 직접 접촉하려는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른바 맨발 걷기 운동이 활성화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맨발 걷기 운동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기보다는 흙이며 땅과의 접촉을 늘리는 운동이다. 지구라는, 대지라는, 자연이라는 생명공동체와 직접 만나 그것의 운기(運氣)에 다소라도 동참하는 일이 맨발 걷기 운동이다.

대전에서는 맨발 걷기 운동이 아주 일찍부터 활성화된 줄로 알고 있다. 이 지방의 주조회사의 회장이 앞장서 계족산 임도에 14.5km에 황톳길을 조성해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계족산 임도의 황톳길은 언젠가 나도 아우들과 함께 걸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계족산 임도의 황톳길과 멀리 떨어져 살아 그곳에서 대지이며 자연의 운기를 받아들이고 있지는 못한다.

대전에서 멀잖은 세종에서 사는 나는 집 근처에 있는 조그만 숲 오솔길에서 자주 대지며 자연과 하나가 되는 운동, 흙이며 땅과 하나가 되는 운동을 하고 있다. 내 경험으로 미루어 볼 때 흙이며 땅과 하나가 되는 운동을 하게 되면 우선 발이 따듯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혈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진다는 얘기다. 두세 번의 맨발 걷기만으로도 잠이 잘 오고, 피부가 보들보들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무엇보다 마음이 맑고 깨끗해지는 체험을 할 수 있어 좋다. 부족하고 모자란 대로 지금으로서는 맨발 걷기도 물심일여를 사는 일, 주객일체를 사는 일이 아닌가 싶다.

/이은봉(시인·광주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