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나눌수록 커지는 것, 김홍도의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나눌수록 커지는 것, 김홍도의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5-04 09:28
  • 수정 2024-05-04 09:2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세상엔 나누어 가질수록 커지는 것이 있고, 작아지는 것도 있다. 아는바와 같이 사람 감정이 그러하다. 기쁨, 즐거움, 사랑, 행복 같은 것은 함께 할수록 커진다. 슬픔, 고통, 아픔, 불행 같은 것은 나눌수록 작아진다. 분노, 불안, 공포 같이 경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 좋고 나쁜 것으로 대비된다. 극대화하고 극소화하기 위해 함께 하는 것이다. 서로 이롭게 한다. 이렇듯 더불어 사는 것이 우리 인류의 지혜임에도 기피하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아름다운 만남으로 기쁨과 즐거움이 배가된다. 아울러, 두고두고 회상하며 즐기기 위해 각종 기록으로 남긴다. 형상은 사진기가 없던 시절, 그림으로 남겼다. 계회도, 아회도 등이 그런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아회(雅會)가 성행했다. 말 그대로 우아한 만남이다. 글짓기뿐만 아니라 서화와 음악도 함께 즐겼다. 예술을 매개로 함께 향유하는 것이 목적이요, 차와 술을 곁들이기도 했다. 이른바 풍류다.

영·정조시대 문예부흥의 주역엔 중인이 많다. 신분사회여서 사대부로 대우 받지 못했을 뿐, 산관, 역관, 율관, 의관, 화원 등 잡과 출신 전문인이요, 사회 중추 세력이다. 조선 후기에는 이들의 경제력이 강해지면서 독특한 문화형성의 주체가 된다.



여항문인 모임인 '송석원시사', '벽오사' 등의 시사는 고품격 문화예술 향유가 지향점이었다. 호화롭거나 난잡한 음주가무가 아니다. 허경진의 <조선의 중인들>에 의하면 나름의 규약도 정하였던바, 벽오사의 것이다. 옛 사람의 진솔한 뜻을 본받아, "사철의 아름다운 날을 가려 모인다." "밥은 소채를 넘지 않고, 술은 세 순배를 넘기지 않으며, 안주는 세 가지를 넘지 않고, 차는 계산에 넣지 않는다." "마음대로 책을 읽고, 흥이 나는 대로 시를 읊으며, 한계를 두지는 않는다." 등이다. 모임 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남기고, 시첩으로 만들기도 한다.

지금도 문인들은 이러저러한 글짓기 모임을 갖는다. 각자가 써온 작품에 대하여 의견교환과 비평하는 합평회가 주지만, 글쓰기 지향점이나 문학 이론 및 정보도 나눈다. 선인이 즐겼던 것에 비하면 다소 축소된 모양새다.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선인의 우아한 모습이 선망이었음은 분명하다.

사본 -ㅇㄹㅇㄹㅇㄹ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견본담채, 122.7 × 287.4cm, 국립중앙박물관> 6폭 병풍
문화재청이 2024년 4월 25일 새로 지정한 보물을 발표했다.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견본담채, 122.7 × 287.4cm, 국립중앙박물관> 6폭 병풍 과 <남원 대복사 동종>이다.

<서원아집도>는 1778년(정조 2년) 김홍도가 완성한 그림으로 '서원아집(西園雅集)'이 주제이다. 서원은 중국 북송대 영종(英宗)의 부마였던 왕선(王詵)의 집 정원으로 수도 개봉(開封)에 있었다. 그곳에 왕선이 당대의 유명 인사를 초청, 베푼 아회이다. 왕선 자신과 서화가 미불(米?), 소식(蘇軾), 소철(蘇轍), 왕흠신(王欽臣), 원통대사(圓通大師), 유경(劉涇), 이공린(李公麟), 이지의(李之儀), 장뢰(張?), 정가회(鄭嘉會), 조보지(晁補之), 진경원(陳景元), 진관(秦觀), 채조(蔡肇), 황정견(黃庭堅) 등 16인(진사도(陳師道)를 넣어 17인이 되기도 함)이 모여 시 읊조리고, 휘호 하고, 현금(玄琴) 타고, 담론을 즐기거나 석벽(石壁)에 제시(題詩)를 적고 있는 모습이다. 원 <서원아집도>는 이공린이 그리고 미불이 찬문을 썼다 한다. 이공린 그림은 전하지 않고 미불의 찬문만 전하는데, 후대 사람이 그리는 서원아집은 미불의 찬문이 바탕이다. 김홍도는 같은 주제의 8폭 병풍과 선면화도 남겼다.

그러나 실제 서원아집이 있었던 것이 아니고, 이상적인 풍류모임을 상상하여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하기도 한다.

이종수의 <이야기 그림 이야기>를 참고하면, 등장인물 모두가 주인공이다. 서원아집이 열렸던 1086년 중국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18세기 조선으로 옮겨 온다. 1폭과 2폭엔 예사롭지 않은 서원 입구와 사람 셋, 사슴이 등장한다. 사람은 주인공들의 시종일까, 뭔가 부지런히 나르고 있다. 3폭은 두 마리 학과 암벽에 글 쓰는 모습이 그려있다. 글 쓰는 사람은 미불이고, 바라보는 왕흠신과 벼루 받쳐 든 시동이다. 4폭은 오동나무 아래 병풍이 있고, 그 앞의 탁상에 놓인 그림을 감상하고 있다. 이공린을 중심으로 5명의 문인과 시동 2명이 등장한다. 5폭에는 커다란 탁상위에 준비된 지필묵으로 휘호하는 모습이다. 소식의 무리 5명과 시녀와 시동 포함 8명이 등장한다. 6폭의 아래엔 비파 연주하는 진경원과 듣는 사람, 위쪽에는 강론하는 원통대사와 경정하는 사람이 그려져 있다. 태호석, 소나무, 버드나무, 매화, 파초, 학, 사슴, 고동(古董) 등을 적절히 배치하여 운치를 살리고, 등장인물의 특징과 인품 표현에 진력했음을 알 수 있다. 5폭에 쓰인 강세황의 제발은 대표적 등장인물과 김홍도에 대한 칭찬 일색이다.

품격 있게 자신과 조직, 주위를 가꾸고 가다듬는 것은 자신과 사회를 고품격으로 만드는 일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3.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4.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5.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1.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4.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5. 천안시 서북구, 동절기 제설작업 대비 안전교육 나서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