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작은 공원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작은 공원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 승인 2024-07-24 17:16
  • 신문게재 2024-07-25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조부연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필자가 아침저녁으로 다니는 길목에는 작은 공원이 세 개나 된다. 이른 아침, 작업실에 출근하기 위해 왕복 4차선 도로를 건너면 바로 첫 번째 작은 공원이 나타난다. 동네 어르신들의 쉼터며 동네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지나는 곳이기도 하다. 큰 걸음으로 오십을 세면 ○○어린이 공원이 보인다. 이 공원은 원래 어린이 놀이터였다. 꽤 오래전에 놀이터의 가장자리에 경로당이 들어서고 어른을 위한 운동기구 두어 개가 설치되더니 놀이터라는 이름 대신 어린이공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어린이공원 바로 옆에 필자의 작업실이 있다. 작업실에서 큰 걸음으로 삼십을 세면 이름 없는 공원이 보인다. 이곳을 지나면 왕복 6차선 도로로 나설 수 있다. 횡단보도를 건너면 동네가 바뀐다. 점심때가 되면 쉼터에 가까운 이름 없는 공원을 지나 도로를 건너 맛집을 찾아다닌다. 새로 생긴 일본식 돈가스집도 있고 수십 년째 다니는 올갱이 해장국집도 있다. 길 건너 남의 동네에만 맛집이 있는지 모르겠다. 해 떨어지면 다시 공원을 지나 집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매일매일 산다. 필자와 비슷한 우리 동네 사람들이 아주 많다. 회사로 출근하는 사람, 운동하는 사람, 학교 가는 아이들이 작은 공원을 지나다닌다.

그런데 이 작은 공원, 쉼터, 놀이터가 다른 얼굴로 계속바뀐다. 첫 번째 쉼터 작은 공원에 동네노인들이 아침부터 하나 둘 모여든다. 해가 뜨거워지면 사람들이 더 늘어난다. 키가 훌쩍자란 조경수 덕분에 빈틈없이 그늘져있다. 해가 기울면 노인들은 집으로 향한다. 주변 식당들이 하나 둘씩 문을 열고 취객이 하나 둘 공원에 모여든다. 편의점에서 맥주 두어 캔과 간단한 안주를 마련해 벤치에서 2차, 3차를 한다. 아침일찍 이곳을 지나면 지난밤 무슨일이 있었는지 알수 있다. 벤치마다 맥주캔과 술병들이 굴러다니고 앉은 자리에 담배꽁초와 가래침이 뒤섞여 있다.

다른 얼굴도 있다. 어린이 공원도 마찬가지인데, 동네의 종량제 쓰레기봉투와 재활용품을 담은 비닐봉지며 포장박스가 산더미처럼 쌓인다. 게다가 대형 쓰레기까지 공원에 버린다. 고물 냉장고, 고장 난 TV, 소파 등등. 모두 자기 집 앞에 버려야 한다. 하지만 자기 집 앞에 쓰레기봉투나 재활용품이 쌓여있는 걸 견디기 힘들어한다. 작업실의 유리창 너머로 오늘도 동네 아저씨가 쓰레기봉투를 슬그머니 어린이 공원 곁에 두고 간다. 잘못인 줄은 아는 모양이다. 누가 볼까봐 주변을 살피는게 역력하다.



지금의 작업실에 처음 와서 이 광경이 너무나 못마땅했다. 작업실 앞에 종량제 쓰레기봉투며, 재활용품을 내놓았다. 건물주가 짜증 섞인 목소리로 나무랐다. 집 앞의 쓰레기를 공원 앞으로 옮기라고 했다. 행인이 쓰레기를 던져놓고 간단다. 집앞이 더러워진다며 어린이공원 앞으로 옮기라고 명령했다. 그때부터 작업실에서 나오는 쓰레기며 재활용품을 차로 실어 나른다. 그리고 필자가 사는 아파트에서 처리한다. 죽어도 어린이공원 앞에 버리기는 싫다. 이름 없는 작은 공원은 그나마 형편이 낫다. 대형 교회 앞이고 주변이 뻥 뚫려 있어 보는 눈들이 아주 많다.

동네의 작은 공원의 본디 얼굴은 이렇다. 그늘 아래 벤치에서 노인들이 하루 종일 시간을 보내고 행인이 잠시 쉬어 간다. 여기저기 킁킁대며 오줌을 갈기는 애완견 때문에 눈치 보는 동네 사람도 보이고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동네 사람도 적지않다. 작업실 앞 어린이 공원에 아이들이 놀러 오는 때는 하루 중에 한두 시간도 안된다. 아이들이 찾아오지 않는 날도 허다하다. 뭐가 그리 재미있는지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 아이들 웃음소리가 들리면 일부러 오디오를 끈다. 어떤 음악보다 듣기 좋은 소리가 아이들 웃음소리다. 그런데 점점 아이들 웃음소리를 들을 수 없는 날이 많아졌다.

조부연 도자디자이너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