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미래의 실크로드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미래의 실크로드

대전향토연구회 백남우

  • 승인 2024-10-09 17:27
  • 신문게재 2024-10-10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4061901001345000054621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지금의 대전역 광장은 동서 관통로가 뚫리고 역 광장에는 택시 승강장 등이 들어오면서 매우 복잡하고 답답한 형상이다. 그러나 전에는 대전역의 넓은 광장에서 대전시민들은 대규모 집회나 초 파일 연등 행사 등 시민들의 광장으로 역할을 한 곳이었다. 아침에 인근 지역에서 통근열차가 도착하면 직장인들이나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줄지어 광장을 나오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꽃피는 봄날 대학생들이 통기타를 메고 금강 상류 심천 미류나무 섬으로 완행열차로 엠티를 떠나던 낭만의 장소이기도 했다. 대전역 광장은 대전시민들의 추억과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여러 사연이 깃든 그러한 곳이었다.

한밭 벌에 철길이 놓이고 철길을 따라 모여든 사람들에 의해 대전의 근대가 열렸다. 대전은 철도로 인해 성장한 도시이지만 한국전쟁 때는 철도로 인해 도시가 폐허가 되기도 했다. 유년 시절 부친과 완행열차를 기다리며 플랫 홈에서 가락국수를 먹었던 추억과 서울 유학 시절 무거운 짐 보따리를 들고 통일호 기차를 기다렸던 곳도 대전역 플랫 홈이었다. 까까머리로 군대에 징집되어 군용열차를 타고 훈련소로 입영한 곳도, 일제 강점기 부친께서 일본군에 강제 징집되어 관동군으로 끌려갔다가 광복 후에 간신히 살아 고향으로 돌아오신 곳도 이곳 대전역이었다. 오랫동안 객지 생활에서 돌아와 대전역에 도착하면 넓은 대전역 광장은 아늑한 어머니의 품과 같이 안아주었다.

지난 팔월 초 대전의 지역학 연구모임 단체인 '대전연구회'에서는 열차를 타고 몽골과 러시아 바이칼 지역을 답사한 적이 있었다. 이번 답사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몽골 종단 철도의 일부를 이용하였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러시아 철도가 운영하는 모스크바의 야로슬라브스키 역에서부터 블라디보스토크의 블라디보스토크역 구간을 연결하고 있는 세계 최장의 철도이다. 몽골 종단 철도는 러시아의 울란우데에서 조금 떨어진 자우딘스키에서 시베리아 횡단 철도 본선에서 분기해 몽골을 남북으로 종단하여 중국의 베이징시까지 연결된다. 이번 답사에서는 바이칼 호수와 몽골초원을 가로지르며 호수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둘러보았고, 끝없이 펼쳐진 몽골의 초원과 언덕을 만끽하며 그들의 삶과 정신문화를 접할 수 있었던 특별한 답사였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베를린 올림픽 육상 마라톤의 손기정, 남승룡 선수나 일제 치하에 나라를 되찾기 위한 독립운동가들이 탔었던 철도이다. 또한 연해주에 정착한 고려인들을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로 집단이주 되었던 절망의 철도이기도 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는 과거 냉전 시대에 단절의 땅이었다. 이 철도는 러시아를 통하여 드넓은 유럽으로 나가는 대륙으로 가는 길이다. 고대 실크로드가 동양과 서양을 잇는 단순한 무역의 길이 아닌 사람들의 교류를 통해 문명과 문화의 교류를 가져왔듯 철의 실크로드라 불리는 동아시아를 잇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몽골 종단 철도는 문화와 문명을 실어 나르고 세계 평화를 만드는 미래의 실크로드라 할 수 있다. 대전역 플랫 홈에서 대륙을 향한 기차를 타고 광활한 몽골초원과 바이칼과 시베리아를 거쳐 파리, 런던까지 여행할 미래의 실크로드 역으로 대전역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응원하다 쓰러져도 행복합니다. 한화가 반드시 한국시리즈 가야 하는 이유
  4.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5. "행정당국 절차 위법" vs "품질, 안전 이상없어"
  1.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2. 김태흠 충남도지사, 일본 오사카서 충남 세일즈 활동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 장애인들 대상 가을 나들이
  4.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5. "대전 컨택센터 상담사님들, 올 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절차 위법"-"안전 이상무" 팽팽

정치권 일각에서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 논란을 제기한 가운데 23일 현장에서 열린 정부 안전점검에서도 서로 극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전 논란을 처음 들고 나온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은 행정당국의 법정 절차 위반을 대전시는 자재의 품질과 교량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점에 각각 방점을 찍었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동구)에 따르면 이날 점검은 국토교통부,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대전시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 이후 장 의원은 대전시가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면서 법정 절차를 위반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기획] '가을 정취 물씬' 자연이 살아 숨쉬는 충남의 생태명소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태적 가치를 고스란히 간직한 충남도의 명산과 습지가 지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는 힐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청양 칠갑산을 비롯해 예산 덕산, 공주 계룡산, 논산 대둔산, 금산 천내습지까지 각 지역은 저마다의 자연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간직하며 도민과 관광객에게 쉼과 배움의 공간을 제공한다. 가을빛으로 물든 충남의 생태명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청양 칠갑산= 해발 561m 높이의 칠갑산은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 가을 단풍은 백미로 손꼽는다...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