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충청권 2242세대 집들이… 대전·세종은 전무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8월 충청권 2242세대 집들이… 대전·세종은 전무

전국 1만 4720세대 입주 전월比 14% 줄어
충청권 충남 1802세대, 충북 440세대 규모
"6·27 부동산 정책 입주 시장 영향 미칠 듯"

  • 승인 2025-07-29 16:53
  • 신문게재 2025-07-30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2025년 8월 지역별 아파트 입주 물량
2025년 8월 지역별 아파트 입주 물량. 사진=직방 제공.
8월 충청권에 2200여 세대의 아파트가 입주한다. 충남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 가장 많은 입주 물량을 예고했으며, 대전과 세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내달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4720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월평균 입주 물량인 2만 90세대보다 낮은 수준이며, 전월(1만 7081세대)보다 14%(2361세대) 줄어든 수치다.

충청권은 2242세대가 집들이한다. 이는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5735세대)의 39%에 해당한다. 특히 충남은 경기(7360세대)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만은 입주 물량을 기록했다. 입주 단지를 보면 천안 동남구 청당동 '천안 롯데캐슬 더 청당(1199세대)', 아산 권곡동 '아산 한신더휴(603세대)' 등 1802세대다.

충북에선 청주 흥덕구 송절동 '청주 테크노폴리스 힐데스하임(440세대)'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대전과 세종은 새 보금자리가 마련되지 않았다.



전국적으로는 경기가 7360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1343세대), 대구(1300세대), 부산(1014세대), 강원(456세대), 경남(311세대), 울산(302세대), 서울(282세대), 제주(110세대) 등이 뒤를 이었다.

1000세대 이상 대단지 물량은 경기 평택 현덕면 '평택 화양 휴먼빌 퍼스트시티(1468세대)', 대구 서구 내당동 '두류역 자이(1300세대)', '천안 롯데캐슬 더 청당' 등 3곳이다.

이번 입주를 두고 정부의 6·27 대책이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세입자들이 전세대출을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는 기존 방식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분양받은 사람들이 잔금을 납부하는 데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수분양자들이 자금 여력이 있는 세입자만을 선호하거나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전세 시장 위축은 물론 입주율 저하 등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6·27 부동산 대책 이후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기존 주택매각 지연과 잔금대출 확보 난항, 세입자 미확보 등으로 입주율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새 아파트 입주 시장은 관망세 확산하고 있으며, 당분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이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저력 있게 변모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프라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연구소, 대학, 병원, 기업이 유기적으로 얽히며 기술창출부터 창업, 임상, 제조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한 풀 밸류체인 바이오산업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30여 년 전 LG생명과학, 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중심기관에서 박사출신 연구자들의 창업이 잇따랐던 대전은 현재 300여 개 이상의 딥테크 기반 바이오벤처가 집적돼 있고, 이 가운데 최근 상장기업 수가 60곳까지 확대됐으며 지역 시가총액에서도 두드러진 비중을..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