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악성 미분양 소폭 감소… 그 외 주택공급 관련 지표는 모두 악화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악성 미분양 소폭 감소… 그 외 주택공급 관련 지표는 모두 악화

전국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 전환
대전 16·세종 1·충남 13·충북 8세대 감소
주택 인허가는 대전·충남 절반 이상 줄어

  • 승인 2025-07-31 15:26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게티이미지2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충청권에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그 외 주택 공급과 관련된 지표는 모두 악화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6716세대로 한 달 전(2만 7013세대)보다 1.1%(297세대) 감소했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감소한 것은 2023년 8월 이후 23개월 만에 처음이다. 다만, 감소한 물량을 보면, 220세대가 수도권에 위치해 지방 미분양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4396세대, 지방 2만2320세대로 지방의 비중이 83.5%를 차지했다. 수도권의 경우, 경기가 2187세대로 전월 대비 149세대 감소했고 인천도 1542세대로 46세대 줄었다. 서울은 25세대 줄어든 667세대로 나타났다.

충청권은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먼저 대전의 경우 514세대로 한 달 전(530세대)보다 16세대(3%) 줄었으며, 세종도 1세대가 줄어든 57세대(1.7%)로 집계됐다. 충남은 1259세대로 전월(1272세대)보다 13세대(1%) 감소했고, 충북도 542세대로 전월(550세대)보다 8세대(1.5%) 줄었다.



준공 후 미분양을 포함한 전국의 미분양 세대 수는 6만3734세대로, 전월(6만 6678세대) 대비 4.4%(2944세대) 감소했다. 수도권은 1만3939세대로 1367세대(8.9%), 지방은 4만9795세대로 1577세대(3.1%) 줄었다.

악성 미분양은 줄었지만, 올해 상반기 주택 공급 관련 지표는 모두 악화했다. 전국 상반기 주택 인허가 물량은 13만 8456세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6% 줄었다. 충청권에서 대전은 6567세대로 지난해 상반기(1만 3282세대)보다 50.6% 줄면서 절반 이상 감소했고, 충남과 충북도 각각 51.1% 47.9% 감소했다. 세종은 올해 상반기 52세대에 그치면서 98.5% 줄었다.

주택 착공도 상황은 비슷했다. 전국 착공 물량은 10만 3147세대로 지난해 상반기(12만 7249세대)보다 18.9% 감소했다. 대전은 2410세대로 지난해 상반기(6632세대)보다 63.7% 줄었으며, 충남과 충북도 각각 60.9%, 26.4% 감소했다. 반면, 세종은 1186세대 규모로 상반기에 착공이 이뤄지면서 지난해 상반기(103세대)보다 1051.5% 늘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clip20250731103853
2025년 6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헤드라인 뉴스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도약… 연구·창업·제조 잇는 생태계 완성

대전이 '바이오 신약의 수도'로 저력 있게 변모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프라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비롯해 연구소, 대학, 병원, 기업이 유기적으로 얽히며 기술창출부터 창업, 임상, 제조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한 풀 밸류체인 바이오산업 생태계가 자리잡고 있다. 30여 년 전 LG생명과학, KA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연구중심기관에서 박사출신 연구자들의 창업이 잇따랐던 대전은 현재 300여 개 이상의 딥테크 기반 바이오벤처가 집적돼 있고, 이 가운데 최근 상장기업 수가 60곳까지 확대됐으며 지역 시가총액에서도 두드러진 비중을..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