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폭우까지... 수박··대파 등 농산물 가격 상승 꺾이지 않네

  • 경제/과학
  • 지역경제

폭염에 폭우까지... 수박··대파 등 농산물 가격 상승 꺾이지 않네

대전 수박 평균 소매가 3만 6000원, 한 달 전보다 36% 상승
참외와 대파, 배추, 계란 가격 등 인상 거듭에 소비자 부담

  • 승인 2025-08-10 11:40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수박11
올 여름 폭염과 폭우로 농수산물 가격 상승이 거듭되고 있다. 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과 참외부터 밥상 필수품인 대파와 양파 등 전반적인 채소 가격이 높은 가격을 유지 중인데, 상승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주부들의 근심도 커지고 있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채소 가격이 폭염과 폭우 등의 여파로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우선 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과 참외 등은 가격이 크게 올랐다. 대전 수박 1통의 평균 소매가는 8일 기준 3만 6000원으로, 한 달 전(3만 6360원)보다 36.57%, 1년 전(2만 9671원)보다는 21.33% 각각 인상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도 2만 80원으로, 현재와 비교하면 32.94%나 오른 수치다. 참외(10개) 소매가도 8일 기준 2만 6700원으로, 한 달 전(1만 6744원)보다 59.46% 올랐고, 1년 전(2만 548원)보다 29.94% 각각 상승했다. 평년 가격(1만 9451원)과 비교하면 37.27% 올랐다.

채소류 가격 상승도 꾸준하다. 요리 필수품인 대파(1kg) 대전 평균 소매가는 8일 기준 4063원이다. 이는 한 달 전(2844원)보다 42.86%, 1년 전(3050원)보다 33.21% 올랐다. 평년 가격(3022원)보다는 34.45% 인상됐다. 양파(1kg)가격도 2143원으로, 한 달 전(1945원)보다 10.18%, 1년 전(1954원)보다 9.67% 각각 올랐다. 평년가격인 2035원보다는 5.31% 올랐다.

배추(1포기)가격도 8일 기준 6660원으로, 한 달 전(3618원)보다 무려 83.08%나 급등했으며 1년 전(5589원)과 비교하면 19.16% 올랐다.



채소뿐만 아니라 계란(특란 30구)가격도 대전 평균 소매가는 8일 기준 7929원으로, 8월 5일까지만 하더라도 6714원이었으나, 7일 들어 7993원으로 오른 뒤 8000원대를 향하고 있다.

8월 농산물 가격은 당분간 상승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 8월호 보고서를 보면, 8월 수박(상품) 도매가격이 1kg에 3100원으로 평년보다 17.4% 비싸고, 1년 전보다 1.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여름철 고온이 지속되고 복숭아, 포도 등 대체 과일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박 소비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농경연은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도 수박 소비 증가의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여름철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토마토 도매가격은 폭염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인해 5kg에 2만원으로 평년보다 33.2% 오르고 1년 전보다 18.1% 비쌀 것으로 내다봤다. 과일 중 복숭아(천중도백도)는 생산이 감소하고 출하가 지연되면서 도매가격이 4kg에 3만원으로 평년, 1년 전보다 각각 35.2%, 21.3%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사과(쓰가루)는 생산량이 줄어 10kg에 6만원으로 평년, 1년 전보다 각각 83.0%, 20.6% 비쌀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은 또 배추 도매가격은 10kg에 1만 7000원으로 작년 수준이지만 평년보다 14.9%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 축산물 중 닭고기 산지 가격은 이달 1kg에 1800원으로 평년보다 8.2% 비싸고 1년 전보다 3.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폭염과 호우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면 가격 상승폭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1.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2.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3.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4.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5.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