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UNMCK 정기총회./부산시 제공 |
이로써 시는 도시재생을 통한 세계유산 가치 높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이 안장된 세계적 성지이다. 1971년부터 지정된 경관지구 변경이나 완화를 위해서는 국제관리위원회의 합의가 반드시 필요했다.
총회에서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이후 개발로 인해 유엔기념공원의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이에 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 규모, 용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며 적극 설득했다.
시는 경관지구 해제 이후에도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고, 용도와 외관을 제한하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상세 계획 수립 단계에서 국제관리위원회와 지속 합의를 진행할 것을 조건으로 동의를 얻었다.
2021년부터 시는 경관지구 조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협조를 요청해왔다. 특히 2024년 말부터 시가 관할 기초지자체와 함께 직접 합의 과정에 참여해 실무 논의를 주도한 결과, 조건부 동의라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시는 이번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 환경 개선을 병행하는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 조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관지구 완화와 함께 도시재생 차원의 주변 지역 관리방안을 포함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시민의 삶의 품격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을 추진한다.
남구청은 2026년 상반기에 용역에 착수하고, 2026년 하반기부터 시에서 도시관리계획 결정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성과가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 부산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주변 도시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합의는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세계유산의 가치와 주거 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1.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