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굿둑 구조개선 전국 공론화

  • 정치/행정
  • 충남/내포

금강하굿둑 구조개선 전국 공론화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서 화두로… 배수갑문 증설 등 제기

  • 승인 2014-05-15 18:21
  • 신문게재 2014-05-16 2면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금강하굿둑 구조개선 문제의 전국 공론화 작업이 첫발을 뗐다. 15일 부산 부경대에서 개막한 '2014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에서 이 문제를 화두로 띄운 것.

16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이번 학술회에는 대학교수, 국책·지방 연구소, 관련 단체 등 국내·외 전문가 1000여 명이 참석, '물과 삶의 조화'를 주제로 하천환경과 수질, 물 통합관리, 기후변화, 홍수·가뭄 등 수자원 전 분야에 걸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된다. 특히 이날 열린 기획세션에서는 금강하구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등 5건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펼쳐졌다.

발표는 심덕섭 한국농어촌공사 금강사업단 부장이 '금강하굿둑 사업 현황'을, 정종관 충남발전연구원 실장이 '금강하구 홍수배제와 생태복원을 위한 구조개선 연구'를, 정세웅 충북대 교수가 '금강하구호 수질 현황 및 문제점'을, 허재영 대전대 교수가 '금강하구역의 흐름 특성과 수질개선 방안'을, 신문섭 군산대 교수가 '금강하굿둑 주변의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각각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신문섭 교수는 “최근 대청댐의 비상여수로 증설에 따라 대청댐에서 최대홍수량 방류 시 금강 하구 홍수량은 67% 증가해 상류 지역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며 “현재 600m인 배수갑문을 200m 이상 증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종관 박사 역시 “현재 금강하굿둑의 홍수조절 능력은 200만t에 불과, 만조위와 홍수량이 겹치면 침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배수갑문 증설 등 구조개선을 통해 홍수 배제 능력을 22~54% 이상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심덕섭 부장은 금강하굿둑 사업 과정과 시설현황 전반에 대해 발표했으며, 정세웅 교수는 금강하구호 수질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해 오염원 저감 등 수질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허재영 교수는 기수역 회복과 퇴적토사 처리를 위해 장항 쪽으로 배수갑문을 증설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국내 최고 수자원 전문가들이 학술회를 통해 금강하굿둑 구조개선 문제를 논의함으로써 전국적인 공론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내포=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3.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