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철거 대전 유료 관광산업 '찬바람'

  • 사회/교육
  • 미담

엑스포 철거 대전 유료 관광산업 '찬바람'

문화체육관광부 관광통계 집계결과
엑스포 대체자원 없어 유료관광 공백
오월드·아쿠아리움·미술관 하락세

  • 승인 2017-12-09 07:45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141022000004023_1
엑스포과학공원이 사라진 이후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이 요구되는 가운데 2014년 9월 관계자들이 마스코트인 꿈돌이, 꿈순이를 철거하고 있다.<중도일보DB>
엑스포과학공원과 꿈돌이랜드가 철거된 이후 새로운 관광자원이 개발되지 않으면서 대전권 유료 관광지점의 입장객이 대체로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오월드가 입장객 감소를 맞았으며 유일한 민간 유료관람시설인 대전아쿠아리움은 올해 20만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9일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7년 현재 대전에서 유료로 운영되는 체험·관광시설은 9곳뿐이다. 이중 상서동오토캠핑장이나 남선공원종합체육관 등의 유료 시설을 제외한 실제 관광자원이라고 볼 수 있는 곳은 5곳 정도로 여겨진다. 농촌체험의 동구 찬샘마을과 대전아쿠아리움, 대전오월드, 대전시립미술관, 국립중앙과학관 정도가 유료 입장객이 집계되는 관광시설이다. 이들의 연간 입장객을 보면 지난해 대전오월드 111만5396명이 찾아 관람했고, 대전시립미술관 13만7222명, 국립중앙과학관 130만8539명이다.

대전에서는 2012년까지 운영된 꿈돌이랜드가 운영중단 및 폐쇄되기 전년도까지 연간 53만여명이 찾는 관광시설이었고, 엑스포과학공원 역시 폐쇄 전까지 101만여명의 입장객이 집계됐다. 이들 시설이 연속적으로 문을 닫으면서 이를 대체할 관광자원이 지역에서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그나마 국립중앙과학관이 2012년 129만명의 입장객에서 2014년 108만여명으로 하락했다가 지난해 130만8539명이 찾아 지역 내 최대 유료관광시설이 됐다. 반대로 동물원과 꽃으로 단장된 대전오월드는 2012년 120만여명, 2014년 122만여명까지 늘었다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115만여명 수준으로 입장객이 감소했다. 올해 3분기까지 85만 3791명이 입장해 연말까지 120만명을 돌파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점쳐진다.



뿌리공원과, 세천유원지, 장태산휴양림 등의 무료 관광시설이 있으나, 추정치의 입장객 통계만 있어 정확한 지역 관광객 변화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밖에 2015년 재개장한 대전아쿠아리움은 올해 3분기까지 16만5000여명이 찾은 것으로 집계돼 개장 첫해 24만여명이 찾았던 것보다 입장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립미술관의 입장객 감소세는 더욱 뚜렷해 2014년 22만여명에서 2015년 18만여명, 2016년 13만여명까지 감소했고 올해 3분기까지 6만8000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에서 굵직한 두 개의 시설이 철거된 이후 이를 대체할 관광자원이 개발되지 않고, 기존 관광지의 입장객은 대체로 줄고 있어 관광산업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산처럼 굳건하게 아이들이 자라기를"
  5.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