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지대병원 외과 박주승 교수팀, 복강경 담낭절제술 1만례 성공

  • 문화
  • 건강/의료

대전을지대병원 외과 박주승 교수팀, 복강경 담낭절제술 1만례 성공

  • 승인 2020-07-02 14:05
  • 수정 2021-05-14 14:02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200702)복강경 담낭절제술 1만례 성공
복강경 담낭절제술 1만례 성공 사진=대전을지대병원 제공

한편, 담낭은 소화작용을 하는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일을 하는 신체 기관이다. 간 아래쪽에 있으며, 배 모양으로 생겼다. 신축성이 있어 50㎖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다. 담낭 안쪽 면은 소장의 안쪽 면과 비슷한 점막조직으로 덮여 있다.

 

담낭 절제술은 약 100년 전 시작돼 담낭 결석과 급성 담낭염의 가장 중요한 일차적 치료법으로 인정받아왔다.

 

복강경 담낭 절제술은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흉터가 적다는 장점으로 현재는 담낭 담석증 및 급성 담낭염의 표준 치료로 자리잡고 있다. 반면에 개복 담낭 절제술은 사실상 복강경 담낭 절제술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한 경우에만 시행하고 있다.

 

대전을지학교대병원 외과 박주승 교수팀이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통한 담낭담석증 및 담낭염 환자 1만 명 수술에 성공했다.

대전을지대병원은 박 교수팀이 지난 1992년 1월부터 현재까지 28년간 단 한 건의 수술 사망 사례 없이 복강경 담낭절제술 1만례를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박주승 교수팀은 이 과정에서 과거 상복부 수술 병력이 있거나 합병증이 있는 급성담낭염을 동반한 환자 등 수술을 시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모두 복강경 수술을 시행했으며, 수술 도중 개복하는 전환율이 아닌 순수 개복률이 1%대로 국내 최저 수준이다.

박 교수는 "꾸준히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었던 건 믿고 맡겨주신 1만 명의 환자분들과 수술실에서 함께한 모든 동료들 덕분"이라며 "현재까지 달성한 수술 기록은 단순한 기록뿐 아니라 담낭염과 담석증 환자의 진단과 수술 및 담관 담석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특히 '경과적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 수술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경과적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외과가 지난 1995년부터 국내·외에서 처음 선보인 것으로, 2013년 세계간담췌학회에서 표준치료법으로 결정됐다.

 

이는 급성 담낭염 등 심한 염증을 동반한 환자에 대해 담낭에 배액관을 삽입하는 담낭조루술을 먼저 시행한 후 담낭염의 완화, 담관 담석의 유무에 대한 확인 및 처치 등을 최소화한 다음, 2~3주 가량 경과를 확인한 후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