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 한글과 성경 번역

  • 오피니언
  • 오늘과내일

[오늘과 내일] 한글과 성경 번역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대학 학장

  • 승인 2021-01-31 09:56
  • 신문게재 2021-02-01 19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학장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대학 학장.
18세기 조선에 천주교가 전래된 후, 1779년 순 한글로 된 <천주공경가>, <십계명가>, <경세가> 등의 전도서가 나왔고, 1790년대에 <쥬교요지>, <성교요지>가 나오고, 1864년을 전후로 천주교리 서적들이 목판본으로 대량 간행 보급되었다. 즉, 천주교는 포교보다는 자생적인 교리 연구를 우선으로 하여 조선의 전통 풍속과 결속되면서 착근되었으며, 이후 천주교의 피의 순교 위에서 기독교의 선교가 이루어졌다.

기독교가 본격적으로 전래된 19세기 이후 조선은 서세동점(西勢東漸)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게 되었으며, 조선은 서서히 세계 체제로 편입되는 과정을 밟아 나갔다. 이 시기 조선의 근대화는 서구화와 동의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런 상황 속에서 개화와 자주는 동시대적 상황과 공동체 내 주체적 의식과의 사이에서 긴장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역설적으로 우리나라는 근대적 국가로서의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

물론, 기독교가 신앙의 전파 외에도 한국의 근대적 교육, 문화, 언론, 출판, 보건, 의료 분야 등 한국 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개화기 지식인들의 사상적 배경에 기독교적 세계관이 깊숙이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더욱이 성경 번역을 통한 한글 보급의 확산은 개신교인 기독교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즉, 성경의 한글 번역과 이를 통한 한글 교육이 이루어졌고, 한글의 가치를 드높이는 데에 한글 성경이 미친 영향이 지대했다.

성경 번역은 한글의 저변 확대에 크나큰 역할을 수행했으며, 19세기 당시의 언어생활 전반과 국문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왜냐하면 기독교 신앙 전파를 위해서는 성경을 보급해야 하고 성경 보급을 위해서는 한글 교육이 선행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즉, 성경 번역이 문맹 퇴치를 위한 한글 교육에 기폭제가 되었으니, 학교 설립을 통한 근대교육의 시행과 한글에 대한 재인식으로 한글 사용이 전면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초기 성경 번역이 순 한글로 표기되어 일반에 전파되었다는 점에서 한글과 기독교는 불가분의 관계였다고 할 수 있다.



독일인 선교사였던 귀츨라프(Gutzlaff)가 1832년 고대도에 머물면서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면서 시작된 개신교 선교의 역사와 한글의 관계는 성경의 한글 번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스코트랜드 출신 장로교 목사인 로스(Ross)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그는 중국 만주에서 38년간 선교 활동을 하던 중에 1874년 평북 의주 출신의 한약상 이응찬에게서 한국어를 배워 우리말 문법에 큰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나아가 같은 평북 출신의 백홍준, 이성하, 김진기 외에 1881년에는 의주 출신 서상륜이 로스의 번역 사업에 결정적으로 힘을 보태어 1882년 낱권 형태의 우리나라 최초의 번역 신약성경인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와 <요한니복음>이 번역되었으며, 뒤이어 1887년 합본 형태의 우리나라 최초의 완역 신약 성경인 <예수셩교젼셔>가 편찬되었다.

성경 번역이 한글 보급에 끼친 영향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인쇄 출판을 발전시킨 부분이다. 근대 지식과 문화의 보급과 향유가 인쇄 출판과 서적의 유통에 의해 전폭적으로 확대되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둘 때, 성경 번역과 보급이 인쇄 출판 기술의 발달과 긴밀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글로 성경 번역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1894년 모든 공문서는 국문을 본으로 삼는다는 고종 황제의 칙령 공포보다 10여 년 앞선 것으로 한문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을 전도의 대상으로 삼고 이들을 위해 한글 문체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가히 문체의 혁명적 사건이라고 할 만하다. 이로써 15세기 한글 창제로 시작된 언문일치의 선언적 사건이 19세기 성경 번역을 통한 한글의 대중적 저변을 확보하는 데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 했던 것이다.

기독교가 우리나라의 계몽을 일깨우고 문화를 선도했던 역사적 과정을 돌아보면서 코로나 시대에 기독교 공동체가 보편적 가치로서의 교양과 겸손의 미덕을 갖추고 자기 성찰을 해야 하는 이유를 여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백낙천 배재대 인문사회대학 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