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 승인 2021-03-03 11:11
  • 신문게재 2021-03-04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2


도시락을 싸갖고 다니기 전, 일주일에 꼭 한번은 가는 식당이 있었다. 회사 근처에 있는데 짜장면이 맛있기로 소문난 집이었다. 사실 동네에 흔한 게 중국집 아니던가. 짜장면 맛도 거기서 거기고. 아마 중국요리에서 가장 간단한 요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성산반점의 짜장면은 특별했다. 뭐랄까, 소스가 남달랐다. 꿀을 넣은 것처럼 걸쭉하고 된장을 넣었나 싶게 구수했다. 점심시간만 되면 성산반점은 북새통이었다. 맛 집으로 소문 나 직장인들로 바글바글했다. 좀 늦게 가면 자리가 없어 입맛만 다시며 되돌아 나오기 십상이었다. 허름하고 옹색했지만 짜장면 맛 하나는 정말 끝내줬다. 따끈따끈한 방바닥에 철퍼덕 퍼지고 앉아 먹는 마성의 짜장면. 후루룩 쩝쩝 입가에 시커먼 소스를 묻혀가며 볼이 미어터지게 먹곤 했다. 아, 레몬을 듬뿍 썰어 넣은 새콤달콤한 소스를 바삭한 탕수육에 부어먹는 맛도 일품이었다.

며칠 전 볼일이 있어 그 식당 앞을 지나갔다. 와글와글한 손님들의 목소리와 사방팔방 진동하던 짜장면 냄새는 연기처럼 사라졌다. 문은 굳게 잠겼고 입구 시멘트 계단은 무너져 덩어리들이 나뒹굴었다. 한낮의 햇살만이 거미줄 친 어둑한 식당 안에 스며들었다. 작년 봄에 코로나 때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어느날 갑자기 문을 닫았다. 사내는 주방에서 땀을 뻘뻘 흘리며 볶고 튀기고, 여자는 부지런히 음식을 나르고. 늘 상냥한 미소로 "맛있게 드셨쎄요? 잘 가요오?"라며 어깨를 두드려주던 싹싹한 여자였다.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알록달록 촌스런 꽃무늬 벽지와 싸구려 레이스 커튼도 추억으로 남았다. 모든 사라지는 것은 잊혀진다. 어느 소설가는 잊혀진다는 건 서럽다고 고백했다.

코로나 이후 여행다운 여행을 못하고 있다. 새벽기차 타 본 게 언제였던가. 여행은 사람과 맛의 기억이다. 늦가을 봉화 춘양에서 먹은 짜장면도 잊지 못한다. 식당 주인 가족들과 식탁에 둘러앉아 짜장면을 비벼먹던 그 날을 어찌 잊을까. 여행자의 배낭에 사과 몇 알을 넣어주며 배웅하던 따스한 마음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른 아침 허기진 배를 채워준 목포 항구의 후미진 시장 뒷골목의 해장국집도 아스름하게 떠오른다. 돼지등뼈 해장국에 밥을 말아 쿰쿰한 갈치 젓갈을 정신없이 찍어먹었는데 꼭 이맘때였다. 소주 나눠 마시던 할머니들은 건강하실까. 인심은 곳간에서 나오는 게 아니란 걸 여행하면서 알았다. 생면부지의 여행자의 손을 잡아끌며 한 끼 밥을 먹여 준 이들은 가난한 사람들이었다. 고단한 삶이지만 열심히 하루하루 살아내는 사람들. 하나같이 눈빛이 따뜻한 사람들이었다.



고등어구이백반을 제일 맛있게 먹은 곳은 부산 자갈치 시장 인근 골목 식당이다. 싼 맛에 노동자들이 찾는 곳이었다. 다닥다닥 붙은 서너 개 되는 식탁에서 낯선 이들과 어깨를 부딪치며 혹은 마주보며 먹어야 하는 곳. 기름이 지글지글 끓는 고소한 고등어구이가 나오는 소박한 밥을 한진중공업 해고자 김진숙도 먹어보기나 했을까. 소금 꽃이 핀 '빵꾸' 난 작업복을 입고 서러운 기름밥 먹으며 영도다리 건너던 땜쟁이 김진숙들 말이다. 입가심하라고 김이 펄펄 나는 구수한 눌은밥을 스뎅 대접에 가득 담아주던 부산 아지매. 늦은 밤 희미한 형광등 불빛 아래서 곱창전골 안주 삼아 소주잔 기울이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토해내던 속초 당진댁…. 다들 안녕하신지. 낯선 도시의 골목 사이사이 오래된 식당에서 새어나오는 불빛과 음식냄새 그리고 그 사람들의 체취가 내 정서의 근간이다. 예기치 못한 재난에 휩쓸려 몰락하고 벼랑 끝으로 내몰린 이들이 한 둘일까마는 잠깐 스친 인연들의 안위가 궁금하다. 민들레꽃 피는 봄날, 지상의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살아있는 시간을 누리는 기쁨을 맛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디지털룸 2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시가 총액 1위 알테오젠' 생산기지 어디로?… 대전시 촉각
  2. '행정수도 개헌' 이재명 정부 제1국정과제에 포함
  3. "국내 최초·최대 친환경 수산단지 만든다"… 충남도, 당진시 발전 약속
  4. 이 대통령, 세종시 '복숭아 농가' 방문...청년 농업 미래 조망
  5.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1. "착하고 성실한 학생이었는데"…고 이재석 경사 대전대 동문·교수 추모 행렬
  2.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3.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4.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헤드라인 뉴스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속보>교정시설에서 수용자의 폭력이나 자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금속보호대가 대전교도소에서 1년간 122차례 사용되고 한 번 사용되면 평균 3시간 50분간 수용자에게 착용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금속보호대를 이용해 6시간 이상 수용자를 결박한 사례도 16차례 있었는데 사후 전자기록을 남겨놓지 않거나 부실작성 등 보호장비 사용에 대한 문제가 추가로 확인됐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대전교도소장에게 발송한 직권조사 결정서를 분석한 결과 폭력이나 자해 위험 수용자를 관리할 목적의 여러 보호대 중 결박 강도에 따라 통증이 뒤따르는..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새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RISE 재구조화, AI 인공지능 활용 등 교육 분야 주요 국정과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학문별 대가로 선정된 교수에 대한 정년 제한을 풀고, 최고 수준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 학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교육부는 6대 국정과제를 위한 25개 실천과제(공동주관 1개 국정과제, 3개 실천과제 포함)를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실현해 거점국립대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에 나선다. 학생 1인당 교육비를..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해수부 부산 이전…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 대안은

이재명 새 정부가 오는 12월 30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청사 개청식을 예고하면서, 정부세종청사 공백 해소를 위한 동반 플랜 마련을 요구받고 있다. 수년 간 인구 정체와 지역 경제 침체의 늪에 빠진 세종시에 전환점을 가져오고, 정부부처 업무 효율화와 국가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를 위한 후속 대책이 중요해졌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에 따른 산술적 대응은 당장 성평등가족부(280여 명)와 법무부(787명)의 세종시 이전으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단순 셈법으로 빠져 나가는 공직자를 비슷한 규모로 채워주는 방법이다. 지난 2월 민주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軍문화축제 하루 앞으로

  •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청춘은 바로 지금’…경로당 프로그램 발표대회 성료

  •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 새마을문고 사랑의 책 나눔…‘나눔의 의미 배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