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위로와 희망의 오라토리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위로와 희망의 오라토리오

안성혁 작곡가

  • 승인 2021-03-08 09:34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안성혁 작곡가
안성혁 작곡가
1743년 3월 23일 영국 런던 왕립 코벤트 가든 오페라 극장. 유럽의 이슈가 된 오라토리오가 런던에서 처음 연주되는 음악회다. 2부 마지막 합창이 연주되자 영국의 국왕 조지 2세는 자리에서 일어난다. 그러자 청중도 일어선다. 왕은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라는 메시지를 앉아서 들을 수 없어서 일어났다"고 했다. 그 후로 이 곡이 연주될 때는 일어서서 듣는 풍습이 생겼다. 그럼 이 합창과 작곡가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 작곡가가 활동한 시기는 음악사 중 바로크 시대(약 1600~1759년)다. 바로크 음악의 특징은 감정이 풍부하게 드러난다. 또 수사학을 통해 음악으로 구체적인 메시지를 전하려 했던 시기다. 대위법의 발전은 화성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근대음악으로 길이 열렸다. 오페라가 성행했고, 전에 언급한 Fuga로 대표되는 다성 음악의 시대였다. 시민계급의 성장,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의 구분이 확실해지며 발달하고 있었다. 작곡가로는 D. Buxtehude J. S. Bach, A. Vivaldi, J. Pachelbel 등이 활동했다.

이때 독일의 프로이센의 할레에서 G. Handel(1685-1759)이 태어났다. 서문에 언급한 작곡가가 바로 Handel이다. 그는 '음악의 어머니'로 불린다. 같은 해 또 한 아이가 독일 튀링겐 아이제나흐에서 태어난다.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는 Bach였다. Bach는 평생 독일을 벗어나지 않고 교회음악과 교육을 위한 음악 활동을 했다. Handel은 유럽의 각국을 돌아다녔다. 그의 오페라는 유럽 가는 곳마다 성공을 거두었다. 1726년 영국으로 국적을 옮기며 영국 왕실의 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런 그에게 시련이 닥친다. 이탈리아어로 된 그의 오페라의 인기가 식었고, 페푸쉬의 영어 오페라 '거지 오페라'가 크게 성공하며 이탈리아 오페라에 관한 관심이 멀어졌기 때문이다. 거기다 그의 경쟁자 귀족오페라는 카스트라토 '파리넬리'를 고용하며 헨델을 더욱 위기에 몰아넣었다.



계속되는 어려움 속에서 헨델은 뇌출혈로 인해 오른쪽 반신이 마비된다. 겨우 회복되지만, 시련은 계속되었다. 그렇게 절망에 빠져 지내던 1741년 어느 날 찰스 제넨스 (Charles Jennens)가 헨델에게 대본을 보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 생애, 죽음과 부활 그리고 재림을 내용으로 한 대본이었다. 대본을 읽고 감동한 헨델은 바로 작곡에 착수하여 1741년 8월 22일 착수 9월 14일에 완성한다. 단 24일 만에 완성이었다. 바로 오라토리오 '메시아'였다.

1742년 4월 13일에 아일랜드 더불린에서 세계 초연하고 1743년 런던에서 연주된다. 이후 이 작품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작품이 되었다. 서문에 언급한 작품이 바로 Handel의 오라토리오 '메시아' 2부에 나오는 '할렐루야'라는 합창곡이다. '메시아'엔 인류에 대한 예수님의 사랑과 구원 그리고 희망이 표현되었다. 1부 예언과 탄생, 생애 No 1 서곡 No. 2 "자신의 백성을 위로하라"라는 메시지로 시작한다. (No3, 6, 12) 2부 고난, 죽음과 부활 (No. 20, 34, 37, 42) 3부 재림, 심판, 영원한 삶 (No 43, 46, 51, 52)을 들어보길 추천한다.

헨델은 이 작품으로 얻은 수익을 '파운들링 구제 병원(보육원)'에 기증해 불우한 아이들을 도왔다. 그는 임종 시 이곳에 메시아의 악보와 판권을 기부해 그의 사후에도 어린이들이 도움을 받게 했다.

Handel의 작품 '메시아'는 자신이 작곡했지만, 그에게 희망의 음악이 되었다. 이처럼 코로나로 어려운 요즘 '메시아'는 인류에게 희망을 주는 음악이 되리라 믿는다. 메시아의 첫 가사 "위로해! 위로해! 나의 백성…" 이 메시지는 현재 코로나로 인해 고통받는 우리 인류를 향한 메시지다. 벌써 1년이 지났고 코로나 블루는 우리를 지치게 하며 삶을 힘들게 하고 있다. 그러나 어려울수록 희망을 봐야 한다. Handel의 '메시아'를 들으며 힘을 내자. 코로나 19 이 또한 지나가리니…/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2.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