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코로나 위기극복 저금리 700억 융자 지원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코로나 위기극복 저금리 700억 융자 지원

업체당 6000만원, 2~3% 대출이자는 시에서 부담

  • 승인 2021-05-05 10:00
  • 수정 2021-05-05 10:08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대전시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700억 원의 저금리 융자를 푼다.

이번 대출자금은 업체당 6000만 원 이내로 2년 거치 일시상환이다. 대출이자 2~3%는 2년간 대전시가 부담한다.

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1000억 원 긴급자금 수혈로 3488개 업체가 융자를 받았고, 998개 업체는 융자상환액 313억에 대해 1년간 상환 유예와 2% 이자 지원으로 자금난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었다는 분석이다.

소상공인
대출 희망 소상공인은 원스톱 협약을 맺은 은행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10일부터 14일까지 접수다.



자금 지원 방식은 두 가지다. 일반 자금은 소상공인에게 지원되는 600억 이다.

남은 하나는 온통대전 배달플랫폼 지원자금 100억 원이다. 지역 내 소상공인 가운데 온통대전 배달플랫폼인 띵동, 부르심, 휘파람에 가입된 사업자 또는 온통대전몰에 입점 된 사업자가 대상이다.

대출 가능한 협약은행은 총 13곳이고, 단 추천서 발급 대상이어도 부동산 담보, 신용, 보증기관의 보증이 불가한 경우는 융자지원이 불가능하다.

지역의 한 소상공인은 "대출이자를 시에서 부담해주는 것만으로도 소상공인들에게는 큰 힘"이라며 "코로나 극복을 위한 행정기관의 다양한 지원책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3.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4.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5. 대전시, 통합돌봄시대 준비 본격화
  1.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2. 한밭수목원'정원 속에 피어난 야생화'축제 열린다
  3. 세종시청 테니스부 존치… '남녀 4명' 축소 운영키로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사설] 공공기관 이전 '희망 고문'은 안 된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목표 설정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대전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재활용시설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