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지역 환경교육을 지원하는 대전광역시환경교육센터의 예산이 전액 삭감된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환경교육 강사)
대전시가 2024년도 대전환경교육센터 예산을 전액 삭감한 가운데 환경교육과 관련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당혹감을 나타내고 있다. 날로 중요해지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처사라며 대전시의 결정을 비판했다.
28일 대전시와 대전환경교육센터에 따르면 2024년도 대전환경교육센터 운영에 필요한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당장 센터 운영이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환경부가 2024년도 예산안에 센터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담지 못하면서 대전시도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반면 충남도나 세종시를 비롯한 상당수 광역지자체는 국비 없이 지방비를 편성해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충남도는 1억 9200만 원을 편성했으며 세종시는 1억 5000만 원을 자체 예산으로 센터를 운영할 구상이다. 인천시는 시비 1억 9000만 원, 대구시는 1억 5000만 원을 각각 편성한 상태다.
줄어든 예산으로나마 센터를 운영하는 것이 전국적 흐름이지만 대전시가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지역에선 환경교육 위축에 대한 우려가 번지고 있다. 대전환경교육센터를 이용한 교사나 환경교육 강사, 환경단체 활동가 등은 대전시의 환경교육센터 예산 삭감 방침에 대해 당혹감을 드러내며 예산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의 한 교사는 대전환경교육센터에 대해 "교사 한 명이 연수에 참여하게 되면 교사가 수업을 담당하는 수백 명의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기에 매우 중요한 프로그램"이라며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고려한다면 지금보다도 더 많은 예산 지원이 있어야 하는데 예산 삭감은 정말 말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교사는 "환경에 관심 있는 교사라고 하더라도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구상해 추진하려면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대전환경교육센터 운영 필요성을 설명했다.
대전교육청은 교육청 자체 환경교육센터가 없는 만큼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더 절실하다.
대전교육청 환경교육 담당 장학사는 "센터가 그동안 교구나 교재를 개발해 학교 현장에 보급해 주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 지원이 안 된다면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대전시가 전액 삭감한 예산안은 현재 대전시의회가 심의 중인 상황이며 항목 자체가 사라져 예산 회복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대전시 기후환경정책과 관계자는 "앞으로 국비가 확보되면 추경을 통해 다시 센터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때까지 센터 운영에 공백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경교육센터는 아니지만 일부 환경교육을 하는 기관을 통해 역할을 하고 공백 기간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