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사진=연합뉴스 |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을 발표한다.
선거가 끝난 뒤 공약(空約)이 되지 않기 위해선 충청 민·관·정이 이에 대한 조속 이행을 촉구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가장 시급한 건 560만 충청인 염원이자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인 대통령실 및 국회 완전 이전 등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다.
이재명 후보는 '사회적 합의' 전제를 달아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을 약속했는데 당선 때 용산에서 집무를 시작한 뒤 청와대로 들어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종행(行)에 대해선 "마지막 종착지"라는 표현으로 장기 과제로 분류했다.
김문수 후보는 국회 세종의사당은 이미 합의된 사안이며 대통령실 이전에 대해선 공무원과 가까이에서 일해야 한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긴 했다.
다만, 완전 이전에 대한 시기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선 명확한 언급은 없다.
이준석 후보는 세종시를 국민화합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당선되면 세종시에 국회와 대통령실 설치를 시작하겠다고 했다.
3명의 후보가 모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대해 철석같이 약속을 한 것이다.
다만, 선거가 끝나면 행정수도 이슈가 여러 국정 현안에 뒷전으로 밀려 동력을 잃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충청권 입장에선 한 시라도 긴장의 끈을 놓으면 안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본선과정에서 각 후보들에게 대통령실 및 국회 완전이전을 위한 개헌 또는 행정수도특별법 등 방법론에 대한 확답을 받아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 이에 대한 전(前) 단계로 세종의사당 대통령 제2집무실 완공 로드맵 제시를 촉구하는 등 노력도 필요해 보인다.
대전 충남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이전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대전 역세권과 연축지구, 충남 내포신도시는 2020년 전국에서 11~12번째로 혁신도시로 지정됐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 들어서도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로드맵을 제시하지 않아 지금까지 '무늬만 혁신도시'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은 대전 충남에 인구 및 세수 유입 등 지역 활성화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12일부터 본격화 되는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집권 이후 제2차 공공이전 추진 일정을 제시토록 대선후보에 요구하는 등 노력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이밖에 대전 교도소 이전, 충남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충북 중부내륙특별법 개정과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증설 등도 각 후보에 공약화를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