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극한 한파' 건설업계 3분기 인허가 급감... 대전 면적 감소율 최고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건설]'극한 한파' 건설업계 3분기 인허가 급감... 대전 면적 감소율 최고

대전 전년동기 대비 82.5% 감소... 전국은 32.8% 줄어
전국 착공 면적 44.2%↓, 준공은 8.1% 늘어

  • 승인 2023-11-29 10:31
  • 신문게재 2023-11-30 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fdfdfdfdf
2023년 3분기 건축 인허가 인포그래픽[국토교통부 제공]
건설업계가 극한의 한파를 맞고 있다. 원자잿값 상승과 고금리 여파로 신규 공사 등은 엄두조차 내지 못한다. 대출이자 등 늘어나는 사업비 부담으로 사업 진행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까지 미루고 있다. 장기화 된 부동산 침체에 따른 미분양 리스크가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 탓에 건축경기 선행·동행·후행지표로 구분되는 허가·착공·준공 면적이 크게 줄었다. 본보는 올해 3분기 건설업계 분위기를 나타내는 건축 현황 등 사업 절차 등을 알아봤다. <편집자 주>



▲급감한 전국 인허가·착공 면적, 준공 소폭↑= 올해 3분기 전국 인허가 면적은 3058만900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4553만3000㎡) 32.8%(1494만4000㎡) 감소했다.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 등의 허가 면적이 감소한 결과다. 동수는 3만7242동으로 전년 동기(4만8881동) 대비 1만1639동 줄었다.

지역별 건축 허가 면적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1523만 2000㎡로 전년 동기 대비 16.3%(296만1000㎡), 지방은 1535만6000㎡로 전년 동기 대비 43.8%(1198만2000㎡) 각각 감소했다. 최근 5년간 3분기 건축 허가 연면적은 연평균 2.6%, 동수는 연평균 11.2%로 줄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42.6%)이 가장 많이 감소했고, 상업용(-33.5%), 공업용(-30.2%), 교육 및 사회용(-19.5%), 기타(-19.1%) 등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같은 기간 착공 면적은 1627만9000㎡로 전년 동기(2917만6000㎡) 대비 44.2% 줄었다. 동수는 2만7825동으로 전년 동기(3만6241동) 대비 8416동 감소했다.

최근 5년간 3분기 건축 착공 연면적은 연평균 9.0%, 동수는 연평균 12.6% 줄었다.

수도권은 679만2000㎡, 지방은 948만6000㎡로 각각 전년보다 50.7%(698만㎡), 38.4%(591만6000㎡) 감소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57.4%), 기타(-51.8%), 상업용(-47.3%), 공업용(-5.8%) 순으로 감소했고, 교육 및 사회용(2.7%)은 증가했다.

준공 면적은 늘었다.

전국 준공 면적은 3437만3000㎡로 업무시설, 아파트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3180만㎡)보다 8.1%(257만3000㎡) 늘었다. 그러나 동수는 3만2541동으로 전년 동기(4만167동) 보다 19%(7626동) 줄었다.

수도권은 27만 7000㎡(-1.6%) 감소한 1726만 3000㎡, 지방은 285만㎡(20.0%) 증가한 1710만 9000㎡를 기록했다.

주거용(13.8%)과 기타(9.4%), 교육 및 사회용(5.9%), 상업용(2.0%), 공업용(1.9%) 등 모두 증가했다.



▲충청권 건축 인허가 면적 감소율 상위권= 3분기 대전 건축 허가 면적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 기간 건축 허가 면적은 30만4451㎡로 전년 동기 대비 82.5% 감소했다. 감소율이 두 번째 높은 대구(72.4%)와 10%포인트 차이를 보인다. 동수는 453동으로 36.8% 급감했다. 세종은 8만9568㎡로 52.2% 줄었다. 전국 5위 감소율이다. 동수는 195동으로 31.3% 줄었다.

충남·북은 185만4212㎡, 132만8488㎡로 각각 43.8%, 37.5% 감소했다. 동수는 충남 3050동, 충북 2321동으로 28.5%, 20.6%의 하락률을 보였다.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인천과 광주 2개 시·도만 면적이 증가했다. 각각 265만9131㎡, 147만8717㎡ 기록해 125.5%, 32.5% 늘었다.

착공 면적은 충남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3분기 착공 면적은 86만3720㎡로 전년 동기보다 68.5% 줄었다. 동수는 2507동으로 전년 동기보다 21.1% 감소했다.

대전은 같은 기간 67.5% 줄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대전 착공 면적은 21만3584㎡다. 동수는 293동으로 28.7% 줄었다. 충북과 세종 착공 면적은 각각 56.1%, 세종은 21.4% 감소했다. 이 기간 착공 면적은 각각 67만8209㎡, 12만40㎡다. 동수는 1915동, 167동으로 전년보다 19.2%, 19.7% 줄었다.

준공면적은 전국적으로 증가했다. 광역지자체 중 세종의 준공 면적이 가장 많이 늘어난 가운데 충청권에선 대전이 유일하게 감소했다.

3분기 세종 준공 건축물 연면적은 39만8773㎡로 전년 동기 보다 178.7% 증가했다. 다만 동수는 212동으로 36.9% 줄었다.

충남·북은 각각 258만1877㎡, 146만6408㎡ 기록해 건축 연면적이 32.2%, 26.4% 증가했다. 동수는 3120동, 2092동으로 10.2%, 17.8% 감소했다. 대전은 62만㎡의 건축물을 준공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0% 줄었다. 감소율이 큰 광주(-43.8%), 전남(31.8%), 인천(-19.1%)의 뒤를 이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걷기로 건강도 혜택도 챙기세요"
  2. 천안 다가동 예식장 연회장서 천장 마감재 떨어져 하객 10명 부상
  3. 전통시장 수산물 구매, 최대 30% 환급 시작
  4. 어촌마을 워케이션, 바다와 함께 일하며 쉼표 찍는다
  5. '노후 원양어선' 대체 건조 본격화...6월 중 최종 사업자 선정
  1. aT, 무궁화 보급 유공자에 표창 수여
  2.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3. 상명대, 소수정예 웹툰작가 양성사업 선정 및 참여 교육생 모집
  4. '소 써레질·손 모내기' 특별한 광경...5월 21일 만난다
  5. 농촌진흥청, 봄철 농작물 생육 부진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대선 본선레이스 돌입…충청현안 골든타임

12일부터 제21대 대선 공식선거 운동이 막을 올리는 가운데 충청권 핵심 현안의 대선공약 관철을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선 본선레이스에서 각 당 후보들로부터 대통령실 및 국회 세종 완전이전, 대전 충남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해묵은 지역 현안 관철 약속을 받아내야 하는 '골든타임'에 돌입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은 12일부터 6·3대선 하루 전인 다음달 2일까지 22일 간 열전을 벌인다. 본선레이스 돌입 이후엔 각 후보와 정당이 17개 시도 공약(公約..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21대 대선, 12일부터 공식선거운동 돌입… '충청의 선택' 촉각

12일부터 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충청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이 이번 대선에 나서면서 3파전 구도가 짜여졌다. 특히 대선 필승을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최대 승부처이자 전통적 캐스팅보터 인 충청 민심을 잡기 위한 3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2일부터 대선 전날인 6월 2일까지 누구든지 공직선거법에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선거운동이 가능하다. 후보자와 배우자, 직계존비속, 후보자와 함께 다니는 선거사무장·..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대선후보들 '감세 공약' 봇물... 세수결손, 0%대 저성장은 어쩌나

국민의힘이 대선주자로 김문수 후보를 공식화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등 주요 정당들의 대선 대진표가 완성됐다. 이들 후보들은 잇따라 감세 공약을 내놓으며 민심을 잡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재원 확보 방안이 뒷받침되지 않아 '표풀리즘'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 대선주자들의 감세 공약을 보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인하하고,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6%로 낮추며,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물가상승률에 연동하는 세제 개편안을 제시했다. '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봄비가 와도 즐거운 제14회 월화수목 대전달빛걷기대회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