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 뒤 몽블랑을 가다] 16-알피니즘의 발원지 샤모니 몽블랑

  • 문화
  • 여행/축제

[투르 뒤 몽블랑을 가다] 16-알피니즘의 발원지 샤모니 몽블랑

에귀뒤미디 파노라마, 현실판 '겨울왕국'
하늘-지상 3차원 공간이동 도시 샤모니
늘 그 자리서 표용하는 너그러움 '山은 정직'

  • 승인 2023-12-26 09:30
  • 신문게재 2023-12-27 9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에귀베르트4122
에귀뒤미디에서 바라본 동쪽 전경. 산악인들이 왼쪽 에귀베르트(Aiguille Verte 4122m)에서 에귀뒤미디로 귀환하고 있다. 가운데 탈레프르 빙하가 보인다.(사진=김형규 여행작가)
에귀뒤미디는 현실판 '겨울왕국'이었다. 전망대에 올라서니 360도 카메라에 갇힌 듯 하얀 설산이 머리 주변을 빙글빙글 맴돌았다. 하늘과 맞닿은 빙산의 파노라마 앞에서 방향감각은 무용지물이었다. 빙벽을 기어오르는 클라이머의 움직임과 중간중간 산(山) 이름을 표기한 안내판이 없었다면 무중력 얼음왕국과 다를 바 없었다. 전망대 꼭대기 철제 계단을 올라가는데 다리가 천근만근, 머리가 깨질 듯 아팠다. 난생처음 겪는 고산증이다. 케이블카를 타고 순식간에 3000m 높이를 공간이동한 후유증이다.

220여 년 만에 환생한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1740-1799)가 케이블카를 타고 에귀뒤미디 전망대에 오르는 요즘 풍속도를 목격했다면 어떤 기분이었을까. 에귀뒤미디에서 내려와 소쉬르, 발마, 파카르의 열정과 탐욕, 거기서 탄생한 알피니즘의 히스토리를 성글게 엮으면서 시내버스를 타고 르투르 산장으로 귀환해 이튿날 트레킹에 대비했다.

마지막 날은 르투르를 출발해 11㎞를 걸어 다시 샤모니몽블랑으로 입성하는 일정이다. 몽트록을 거쳐 세스리 호수와 에귀에트 다르장티에르(1893m) 서쪽 루트 끄트머리 플레제르 산장 인근이 최종 목적지다. 거기서 곤돌라를 타고 샤모니몽블랑에 안착하면 모든 일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여름철 샤모니몽블랑의 첫인상은 싱그러움이다. 설산과 빙하가 도시 외곽을 성벽처럼 둘러막고 하늘에는 해발 3000m 이상 고봉에서 연달아 날아오르는 패러글라이딩 쇼가 펼쳐진다. 지상에선 케이블카가 에귀뒤미디와 브레방 방향으로 분주히 외줄타기를 한다. 케이블카와 산악열차, 시내버스 정류장마다 배낭을 짊어진 트레커들로 넘쳐난다.



발마광장
샤모니 몽블랑 발마광장에서 바라본 몽블랑(가운데 하얀 산)과 에귀뒤미디(왼쪽) 꼭대기에 어렴풋이 전망대가 보인다.(사진=김형규 여행작가)
샤모니몽블랑의 히스토리는 발마광장에 세워진 소쉬르와 발마 2인 동상과 50m쯤 떨어진 파카르 1인 동상에서 시작된다. 2인 동상은 소쉬르를 주인 섬기듯 하는 발마가 멀리 몽블랑을 가리키는 역동적인 모습이다. 반면 파카르의 동상은 지팡이를 짚고 다소곳이 앉아 몽블랑을 응시한다. 발마와 파카르는 몽블랑 등정을 함께 이룬 팀이었는데 동상에서 분리된 이유가 궁금했다.

소쉬르는 '등산'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한 인물이다. 그 이전에는 몽블랑을 비롯해 에귀뒤미디 등 설산은 그냥 바라보기만 하는 무서운 산이었다. 역사적으로도 빙하가 무게를 이기지 못해 무너지면서 아랫마을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몽블랑에 간다고 하면 정신병자거나 악마의 저주를 받는다고 말렸다.

식물학자, 물리학자, 기상학자였던 소쉬르는 식물채집을 위해 샤모니의 브레방(2526m)에 올랐다가 주변 설산의 풍경에 넋을 잃었다. 가장 높은 이름 없는 산에 '몽블랑'이라는 이름을 부여한 사람도 그였다. 소쉬르는 몽블랑에 오르기 위해 노력했지만 스스로 한계에 부딪혀 포기했다. 대신 '몽블랑에 오르는 사람에게 큰 상금을 주겠노라' 공언했다. 그로부터 26년 후 상금의 주인공이 나타났다. 자크 발마(1762-1834)와 미셸 파카르(1757-1827)였다.
파카르
발마, 소쉬르 동상과 동떨어져 나중에 건립된 닥터 파카르 동상.(사진=김형규 여행작가)
발마는 금과 수정을 캐는 광부였고 파카르는 의사였다. 샤모니에서 태어난 이들은 각각 몽블랑 등정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는데 우연히 의기투합하게 되면서 1786년 8월 8일 이틀간의 사투 끝에 몽블랑 정복에 성공했다. 날씨가 도와줬다고는 하지만 지금과 비교할 수 없는 당시 원시적 장비로는 이해 불가능한 등정이었다.

샤모니 마을은 물론 프랑스 전역이 몽블랑 등정 소식에 발칵 뒤집혔지만, 이상한 소문이 떠돌았다. 발마의 거짓 인터뷰에 따라 몽블랑 정상등극은 발마 혼자였고 파카르는 정상 코앞에서 포기한 것으로 인식됐다. 첫 번째 기념 동상은 그런 연유로 발마와 소쉬르 두 사람만 기렸다. 그로부터 100년 뒤 소쉬르 증손자가 보관하고 있던 사료에서 파카르도 등정에 성공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의 동상도 세워졌다. 아마도 의사라는 파카르의 상류층 신분이 시기와 질투로 이어지고 광부라는 발마의 직업에 측은지심과 군중심리가 작용했을 수도 있겠다. 발마의 최후는 금을 채굴하다 추락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다. 후세는 진실을 바로 잡는 의미로 샤모니몽블랑 중심가에 파카르의 동상과 함께 '닥터 파카르거리'를 지정했다.

발마와 파카르의 몽블랑 등정 이후 알프스 이름을 딴 '알피니즘'이 널리 퍼지고 이후 200년 동안 전세계 고봉을 향한 등정 경쟁이 활활 타올랐다. 지금은 거의 모든 산이 인류에 의해 정복됐다고 봐야 할 것이다. 알피티즘 본산 샤모니몽블랑은 당연히 1924년 제1회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우리나라는 '등산'이 '산에 간다'는 의미로 포괄적이지만 외국에선 '클라이밍', '트레킹', '하이킹', '알피니즘', '마운티니어링' 등 세부적으로 개념을 세우고 산행을 즐긴다. 산에서 정직함을 배우려는 현세의 현장학습법이다./김형규 여행작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3.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