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디지털 헬스케어, 일상의 AI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디지털 헬스케어, 일상의 AI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선임연구원

  • 승인 2024-02-22 11:36
  • 신문게재 2024-02-23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이영섭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선임연구원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선임연구원
'디지털 헬스케어'. 요즘 주변에서 많이 들리는 용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디지털ICT 기술과 헬스케어 서비스의 결합으로,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의료의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 그리고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 개인 건강 및 질병 관리 산업, 기술로 정의한 바 있다.

이전에도 전세계적인 고령화와 의료비 증가, 지역별 의료격차에 대한 대안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은 있었으나, 주요 서비스 대상이었던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불편함이 큰 장벽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고령층의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가 높아지면서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전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21년 270.6억 달러에서 2030년 1만 355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디지털 헬스케어는 '일상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신호를 다듬어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수집된 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지표를 산출하고', '건강 상태를 피드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 인공지능 분석기술과 건강 관련 빅데이터다. 초기의 의료 분야 인공지능 분석기술은 주로 의료영상 학습에만 활용됐으나 점차 유전체 및 라이프로그 등 멀티모달 데이터까지 인공지능 분석기술의 범위를 넓혀가며 빠른 속도로 발전했고 자연스럽게 고도화된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의료와 건강 관련 정보를 연계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최근의 화두가 됐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과 관련해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All of Us Program'과 영국의 'UK Biobank'다. All of Us Program은 2023년 2월 기준 무려 41만 명이 의료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자신의 건강과 의료정보를 제공했으며, 25만 명의 유전체(WGS) 정보와 1만 5620명의 웨어러블(Fitbit) 측정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UK Biobank는 유전체 중심으로 2023년 기준 50만 명의 유전체(WGS) 빅데이터를 구축해 임상정보와 함께 연구용으로 공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립보건연구원에서 100만 명을 목표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참여자가 1만 5000명이 안 되는 수준이며, 헬스케어 데이터 구축 사업 역시 아직은 시작 단계다.



국내에서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이 어려운 이유로 크게 두 가지가 지적됐다. 먼저, 개인의 임상정보가 병원을 중심으로 파편화돼 있다는 점이고, 다음으로 개인의 건강정보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민감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수집·활용에 관한 엄격한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20년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이를 기점으로 보건복지부 주관하에 개인이 자신의 건강정보를 모아서 원하는 대상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 마이데이터'를 추진하는 중이다. 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주관으로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을 위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가명 처리해 활용할 수 있는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을 발표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풀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따라, 한국한의학연구원 역시 4200건의 유전체(WGS)와 1600건의 라이프로그를 포함해 약 3만 2000건의 한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유전체-역학 정보와 라이프로그 정보를 연계한 한의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동시에 기존에 한의사의 망문문절을 통해 평가하던 환자의 건강을 휴대용 또는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하는 한의 디지털 진단기기와 경혈의 자극이나 명상과 같은 한의학적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한의 디지털 치료기기를 개발하는 연구들도 계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이영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선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7 하계 U대회...세종시에 어떤 도움될까
  2. "내 혈압을 알아야 건강 잘 지켜요"-아산시, 고혈압 관리 캠페인 펼쳐
  3. 세종시 사회서비스원, 초등 돌봄 서비스 강화한다
  4. 세종일자리경제진흥원, 지역 대학생 위한 기업탐방 진행
  5. "아산외암마을로 밤마실 오세요"
  1. "어르신 건강 스마트기기로 잡아드려요"
  2. 선문대, 'HUSS'창작아지트' 개소
  3. 천안시 도시재생지원센터, 투자선도지구 추진 방향 모색
  4. 한국바이오헬스학회 출범 "의사·교수·개발자 건강산업 함께 연구"
  5. 천안시립흥타령풍물단, 정기공연 '대동' 개최

헤드라인 뉴스


22대국회 행정수도 개헌 동력 살아나나

22대국회 행정수도 개헌 동력 살아나나

국가균형발전 백년대계로 충청의 최대 염원 중 하나인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 동력이 되살아날지 주목된다.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조국혁신당이 이에 대한 불을 지피고 나섰고 4·10 총선 세종갑 당선자 새로운미래 김종민 의원이 호응하면서 지역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개헌은 국회의석 3분의 2가 찬성해야 가능한 만큼 거대양당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개헌 정국을 여는 데 합의할지 여부가 1차적 관건이 될 전망이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17일 국회 소통관에서 22대 국회에서 개헌특위 구성을 제안 하면서 "수도는 법률로 정한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충청 화력집중… 이재명 지역 당원들과 `스킨십` 강화
더불어민주당, 대전·충청 화력집중… 이재명 지역 당원들과 '스킨십' 강화

22대 총선에서 '충청대첩'을 거둔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가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19일 대전·충청을 찾아 지지세를 넓혔다. 이 대표를 비롯한 당 주요 인사들과 충청 4개 시·도당위원장, 국회의원 당선인은 충청발전에 앞장서겠다는 다짐과 함께 당원들의 의견 반영 증대를 약속하며 대여 공세에도 고삐를 쥐었다. 민주당은 19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당원과 함께! 컨퍼런스, 민주당이 합니다'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전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호남편에 이은 두 번째 컨퍼런스로, 22대 총선 이후 이 대표와 지역별 국회의..

대전 외식비 전국 상위권… 삼겹살은 서울 다음으로 가장 비싸
대전 외식비 전국 상위권… 삼겹살은 서울 다음으로 가장 비싸

한 번 인상된 대전 외식비가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 가뜩이나 오른 물가로 지역민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지역 외식비는 전국에서 손꼽힐 정도로 높은 가격을 유지 중이다. 19일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가격정보 종합포털사이트 참가격에 따르면 4월 대전의 외식비는 몇몇 품목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손을 꼽을 정도로 높은 가격을 유지 중이다. 우선 직장인들이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김치찌개 백반의 경우 대전 평균 가격은 9500원으로, 제주(9625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가장 비싸다. 지역의 김치찌개 백반 평균 가격은 1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미꽃 가득한 한밭수목원 장미꽃 가득한 한밭수목원

  • 대전 찾은 이재명…당원들과 스킨십 강화 대전 찾은 이재명…당원들과 스킨십 강화

  • ‘덥다,더워’…전국 30도 안팎의 초여름 날씨 ‘덥다,더워’…전국 30도 안팎의 초여름 날씨

  •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 무성하게 자란 잡초에 공원 이용객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