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케밥집에서 '만찢남'을 봤어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케밥집에서 '만찢남'을 봤어

  • 승인 2024-02-28 10:28
  • 신문게재 2024-02-29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40228_095410027
피데케밥
그 식당을 지날 때마다 한번씩 기웃거렸다. 이번엔 문을 쓱 열고 들어갔다. 식당 상호는 딱히 없다. 그냥 '튀르키예 케밥'. 외국음식 식당은 다 그렇다. 베트남 쌀국수, 네팔 요리. 손님은 중년여성들 한 팀과 아랍인 젊은 여성 한 사람. 종업원인 듯한 여성에게 다가갔다. 터키사람인가? 쌍꺼풀이 굵고 눈썹이 진해 영락없는 아랍여성이었다. 주방 위 메뉴판엔 도네르케밥, 피데케밥 등 케밥 종류 6개가 이미지 사진과 함께 소개돼 있었다. 나는 '지니' 같은 여성에게 피데케밥을 주문했다. 고기는 뭘로 할거냐기에 메뉴판을 다시 봤다. 치킨, 램, 믹스미트. 당연히 양고기지. 케밥인데. 뜸을 들이다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터키여성이냐고 물었다. 지니는 웃으며 "저 한국인이에요"라고 말했다.

스피커에선 튀르키예 노래가 흘러나오고 벽걸이 TV도 그 나라 도시 풍경을 보여줬다. 올리브가 황금빛으로 익어가는 볕 좋은 가을날, 이스탄불의 어느 카페에 앉은 나를 상상한다. 주방에선 검은 색의 반팔 티와 바지를 입은 요리사가 바쁘게 움직였다. 그런데 외모가 모델 뺨쳤다. 호리호리한 몸과 이목구비가 '만찢남'이었다. 알고보니 우즈베키스탄에서 왔단다. 전엔 다른 일을 했는데 지금은 케밥 요리사가 됐다고. 그러니까 한국여성은 사장이고 우즈베크 청년은 고용된 요리사라는 말씀! 만찢남이 잠깐 밖을 나간 사이 주방 안을 들여다봤다. 한쪽에 펼쳐진 책이 있었다. 요리하는 틈틈이 읽는 모양이었다. 이방인에 대한 호기심이 더해진다.



드디어 케밥이 나왔다. 돌돌 만 종이를 벗기고 입안 가득 물어 뜯었다. 생소한 맛은 아니었다. 베트남 식당에서 먹은 '반미'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차이라면 반미는 바게트인데 케밥은 납작한 빵 안에 고기와 양파, 토마토, 오이피클, 양상추 등이 들어간다. 살짝 매콤한 맛도 났다. 어라? 양고기는 누린내가 난다고 알고 있는데. 하나도 안 나네? 맛있고 배도 고픈 터여서 천천히 음미할 새도 없이 순식간에 먹어치웠다. 서너 개는 먹어야 배가 찰 것 같았다. 1만원이면 가격이 비싼 편이다. 도네르케밥은 7500원.

세계 선사문명에서 가장 중요한 트로이의 땅 튀르키예. 신과 인간, 자연이 완벽하게 어우러져 호메로스를 비롯해 지금도 인류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튀르키예는 풍요롭고 비옥하다. 식량자급률이 100%다. 주식인 밀은 먹고 남아 돌고 과일도 풍부해 싸고 실컷 먹을 수 있단다. 프랑스, 중국과 함께 튀르키예는 세계 3대 미식의 나라로 알려졌다. 튀르키예는 실크로드에 위치해 향신료 무역이 발달해 오래전부터 향신료를 많이 쓴다. 작년에 후배가 튀르키예로 연수를 간다길래 겁나게 부러워했다. 돌아온 후배에게 음식부터 물어보자 고개를 저었다. 향신료가 너무 강해 입맛에 안 맞았다나? 아, 이 나라 음식에 대한 욕망이 더 커진다. 하긴 동남아 요리에 들어가는 고수도 호불호가 강한 향신료 아닌가.



튀르키예는 지리적으로 동서 무역의 교차로여서 오스만 제국 시기부터 전 세계의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흡수하는데도 주저하지 않았다. 다양하고 화려한 요리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다. 이 나라는 세속적이긴 하지만 엄연히 이슬람교를 믿는다. 이슬람교는 '할랄'이라는 음식문화가 있다. 돼지고기를 금기시하는 것. 그런데 대구 대현동 이슬람사원 반대 주민들이 그들 앞에서 삼겹살 파티를 벌였다. '이슬람 아웃 무섭다!'며 이슬람교에 대한 온갖 혐오의 언어를 쏟아냈다. 단지 기도할 사원을 짓겠다는데. 이들이 테러리스트인가? 한국인은 다분히 미국의 시각으로 세계를 재단한다. 선입견처럼 위험한 것은 없다. 생각만 해도 입안에 침이 고이는 크루아상 모양은 초승달이다. 당신이 먹는 이 빵의 역사가 무슬림과 깊은 인연이 있는 걸 아시는지.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