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돋보기] 충청민심 2년 만에 역전 민주>與

  • 정치/행정
  • 2024 충청 총선

[총선돋보기] 충청민심 2년 만에 역전 민주>與

與 대선 땐 앞섰지만 총선서 밀려
대전, 유효표 민주 54% 국힘 42%
충남 4%p, 충북 2%p 민주가 앞서

  • 승인 2024-04-14 11:00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clip20240414105631
연합뉴스
2022년 치러진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으로 향했던 충청 민심이 2년 만에 열린 22대 총선에서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표 결과에 따르면 이번 총선 대전 전체 유효표는 80만9천204표에 달한다.



이 가운데 국민의힘은 34만6천208표(42.78%), 민주당은 43만8천720표(54.22%)를 얻었다. 민주당이 9만2천512표(11.44%p) 차로 앞섰다.

지난 대선에서는 국민의힘이 49.55%로 민주당 46.44%를 3.11p 차이로 우위를 보였는데 이번에 역전된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 표심도 같은 흐름으로 분석됐다.

총선 유효표 117만785표 중 국민의힘이 55만1천754(47.13%), 민주당이 60만3천632표(51.56%)를 득표했다. 득표율 차는 4.43%p다.

충남은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힘이 51.08% 득표율로 민주당 44.96%를 이겼던 곳인데 이번 총선에선 여당이 밀린 것으로 나온 것이다.

충북 역시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힘(50.67%)이 민주당(45.12%)을 앞섰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민주당(50.23%)이 국민의힘(47.93%)을 제쳤다.

충청권 총선 표심은 수도권과 판박이였다.

서울과 경기 인천도 2년 전 대선에서 국민의힘이 앞서지만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 우세로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인데 충청과 수도권이 전국 민심 바로미터라는 점이 재차 입증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서울 전체 유효투표수는 567만5천720표다. 이중 국민의힘이 262만7천846표(46.30%), 민주당이 296만4천809표(52.24%)를 득표했다.

민주당이 서울 전체 지역구 투표에서 33만6천963표 차이로 국민의힘을 앞선 것이다. 격차는 5.94%포인트(p)다.

반대로 지난 대선에서는 당시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에서 50.56%의 득표율로, 이재명 대표의 45.73%를 4.83%p 차로 앞선 바 있다.

경기에서도 총선 득표율을 대선과 비교하면 국민의힘이 2.8%p 하락했고, 민주당이 3.73%p 상승했다.

이번 총선에서 경기 지역 유효표 763만5천329표 중 국민의힘은 326만9천685표(42.82%), 민주당은 417만3천900표(54.67%)을 획득했다.

민주당이 90만4천215표차(11.85%p)로 국민의힘을 앞섰다.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힘이 45.62%, 민주당이 50.94%로 5.32%p 차이가 났지만, 이번 총선에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인천의 경우 지난 대선 국민의힘 47.05%, 민주당 48.91%로 1.86%p 차의 초접전이 벌어졌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8.66%p 차이로 국민의힘을 앞섰다.

국민의힘은 총선에서 전체 유효표 166만4천960표 중 74만7천240표(44.88%), 민주당은 89만1천343표(53.54%)를 득표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1.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2.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3.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4.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5.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헤드라인 뉴스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사상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는 신속한 시스템 복구에 나서 최악의 상황은 막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전 등 충청권에 가져온 과제는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지역 공공 자산인 국정자원 이전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온다. 공공기관이 특정 지역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달갑지 않다. 갈수록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선 지역의 공공기관을 지키고 새로운 인프라를 유치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중도일보는 '국정자원 화재 나비효과 막아라' 시리즈를 통해..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