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64. 장애인의 날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64. 장애인의 날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4-04-18 12:00
  • 신문게재 2024-04-19 18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내일은 제44회 장애인의 날입니다. 한주 내내 장애인들을 위한 각종 행사가 열리고 있지만 과연 얼마나 그들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보람을 주었는지는 의문입니다.

이 세상에는 질병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 경제적으로 어려워 삶의 한계 상황에서 헤매는 사람, 사람 관계에서 상처받아 가슴 아픈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상당 부분 순간적인 고통일 수 있지만, 인생 전체를 볼 때는 평생 힘들고, 불편하고, 외롭게 사는 장애인들에 비해서는 그래도 낫지 않을까요?



정부는 물론이고 우리는 모두 장애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소홀히 해서는 안 되고, 그것은 선행(善行)이 아니라 우리의 의무입니다. 언젠가 장애인에 대한 더 생생한 자료를 얻기 위해 서점을 찾아 훑어봐도 적당한 책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이것도 장애인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낸 하나의 사례가 아닐는지요.

그러나 우리 사회에는 장애인을 위해 헌신한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공직에 있을 때 장애인 시설을 방문한 바 있습니다. 그때 중증 장애인 곁에서 그들을 희생적으로 돌보는 사회복지사들을 보고 감동을 받은 바 있습니다. 어쩌면 장애인 당사자보다 더 힘든 일상을 보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시설을 방문하고 돌아와 바로 그분들에게 "나는 사회복지사들이 하는 일을 그대로 따라 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여러분께 한없이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요지의 편지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또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틈틈이 돈을 모아 장애인들에게 보내주는 따뜻한 손길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장애인들은 외롭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과 무관심이 많기 때문에 이것을 시정하는 적극적인 정책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의 어느 장애인 단체장이 우리나라를 방문해서 "이 세상에는 장애인은 없다. 다만 편견만 있을 뿐이다"는 주장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적절한 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라는 법정 스님의 잠언집이 있는데, 거기에 '건강만 해도 축복이고 행복이다'라는 말을 부제로 덧붙이고 싶습니다. 장애인의 날에 '함께 웃었다'라는 시를 써보았습니다.

휠체어에 몸 싣고 가파른 비탈 오른다
땀이 팥죽이 되어 흐른다
턱이 들리고 팔이 휘어 뒤뚱뒤뚱
몸을 움직인다
걷고 덜어도 그 자리 맴돈다

눈꺼풀 닫혀 하늘 못 보면서
더듬이 지팡이 의지해 한 발짝씩 발을 뗀다
손끝이 눈이 되어 여기저기 살피지만
꽃도 하늘도 까맣기만 하다

입을 열어도 한마디 말 나오지 않으니
수화와 필담으로 겨우 얼굴 핀다
가슴 치며 토로한 심장의 소리가
허공을 떠다닌다

눈과 귀와 사지 온전한 사람 보면
부러워 눈물 쏟지만
그들과 견주지는 않는다
어느 정도는 포기한다
그리고 용서한다

장애인 곁에서 천사동무 지켜주고
김밥 할머니 주머니에서 나온
청화(靑貨)가 새옷 되어 다가온다
장애인의 날에
장애인도 울고
천사동무도 울고
김밥 할머니도 울었지만
그들은 이내 환하게 웃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