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꽃을 그리자,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꽃을 그리자,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 승인 2024-04-2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양동길
간송미술관 소장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106.1 × 45.6cm, 지본 수묵담채>
올해는 유난히 봄꽃 소식이 많았던 것 같다. 정보망 덕도 있지만, 지자체마다 아름다운 마을 가꾸기에 열중한 탓이리라. 그것도 대규모여서 장관이었다. 매화, 벚꽃, 목련, 산수유, 개나리, 진달래, 철쭉은 물론 유채꽃, 수선화, 튜울립, 꽃 잔디, 자운영, 라일락, 모란 등이 눈에 많이 띄었다. 꽃 가꾸듯 우리 마음도 가꾸면 얼마나 좋을까? 너나없이 꽃이 되면 모두가 꽃동산에 사는 것이요, 꽃길을 걷는 것이 아니랴.

나무에 피우는 봄꽃은 대부분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이지만 보는 사람은 시심이 절로 솟는다. 시심뿐인가, 세상이 밝아진다. 번영, 사랑, 아름다움, 영화, 즐거움, 화려함, 좋은 일 등의 의미로 다가온다.



꽃에 굳이 등급이 있으랴만, 강희안은 <양화소록>에 화목9등품론을 썼다. 일품으로 소나무, 대나무, 매화, 연꽃을 들었다. 높고 뛰어난 운치와 절개 때문이라 한다. 모두 예술가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지극정성으로 보살피고 즐기며 선망의 대상으로 삼아, 자신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삶을 사유하였다. 그중 매화 하나 살펴보자.

매화는 사군자중 첫 번째요, 세한삼우 송죽매 중 하나이다. 엄동설한 이겨내고 피우는 불굴의 의지, 수수하면서도 아름답고 우아한 자태, 고난 속에서도 팔지 않는 맑은 향기가 흠모의 대상이요, 고아한 정신의 표상이다.



중국의 당나라 시인 맹호연(孟浩然, 689~740)은 녹문산에 숨어 살았는데, 이른 봄이면 눈 덮인 산으로 매화 찾아 나귀타고 다녔다. 이 장면이 '나귀 타고 작은 다리 건너면서 매화 시들까 나 홀로 탄식하네.' 시구와 함께 고사 인물도로 그려진다. 나귀를 타는 것에 대해 송나라 시인 구양수(歐陽脩, 1007 ~ 1072)는 시문 구상에 가장 좋기 때문이라 한다. 그가 주장하는 몰아의 경지에 이르는 세 가지 중 하나이다. 남은 두 가지는 누구나 경험했을 법한, 잠자리에 누웠을 때, 뒷간에 앉았을 때이다.

중국 송대의 은일 시인 임포(林逋, 967∼1028)는 매화로 아내, 학으로 아들, 시를 벗 삼아 즐기며 살았다. 박학다식하여 매처학자(梅妻鶴子)로 불린다. 세상의 영욕은 멀리하고 유유자적 살아간 고매한 인품 때문에 많은 사람이 찾았으며, 예술 대상이 된다.

조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역시 매화를 몹시 사랑했다. 매화 시 91수로 <매화시첩>을 만들었으며, 총 107수의 매화시가 전한다. 함부로 부르지 않고 '매형(梅兄)'이라거나 '매군(梅君)', '매선(梅仙)'이라 불렀다. 앉은 자세로 역책(易?: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마지막 남긴 말이 '매화에 물주라'는 것이었다. 도산 서원 앞에는 지금도 매화나무가 서있다.(박상진의 <우리 나무의 세계> 참조)

화가 조희룡(趙熙龍, 1789~1866) 역시 매화 사랑이 지극했다. 유작 중 가장 많은 것도 매화 그림이지만, 자신이 그린 매화병풍으로 방안을 꾸몄으며, 매화시가 새겨진 벼루와 먹을 사용했다. 매화 시 읊조리다가 목이 마르면 매화편차를 달여 먹었다. 자신의 거처 이름을 '매화백영루(梅花百詠樓)'라 짓고, '매수(梅?)'라는 호도 사용하였다. 좋은 종이와 먹이 있으면 가장 먼저 매화가 생각난다고 하였다. 매화일색이다. 귀양 기간에도 울적한 마음을 매화 그리는 것으로 달랬다. 당시로서는 장수한 편인데, 병골이었던 자신이 장수한 이유가 매화의 맑은 향기와 기운을 그리다보니, 몸까지 깨끗해졌기 때문이라 한다. 역관 오세창은 그의 모습을 '마치 학이 가을 구름 타고 훨훨 날아가듯 길을 걸어 다녔다'고 묘사하였다.

그는 추사 김정희의 문인으로 여항시사 '벽오사(碧梧社)'의 중심인물이다. 직업화가 이길 거부했으며, 추사의 묵란 정신과 서체를 본받으려 노력했다. 문사철 자세를 배웠다. 형사를 초월한 심의를 중시했다. 스스로 문인화가로 자처했으며, 애호가 역시 그의 작품을 많이 찾았다.

간송미술관 소장의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106.1 × 45.6cm, 지본 수묵담채>는 전하는 30여 점, 그의 매화 유작 중에서도 으뜸이다. 독특한 필치와 화풍이 주목을 끈다. 특이한 준법의 산 아래 백매가 흐드러지게 피어있고, 그 안에 서옥이 자리하고 있다. 둥근 창으로 서안 위 화병에 꽂힌 일지매에 집중하고 있는 사람 모습이 보인다. 상기한 임포의 고사가 떠오른다.

화면의 우측 중간에 제발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내용이 이렇다. "좀 먹은 속에서 묵은 그림을 얻었다. 바로 스무 해 전에 그린 「매화서옥도」였다. 그저 장난스러운 손놀림이나, 제법 기이함이 있고 연기에 그을려 거의 백년은 된 것 같으니 매화 그림이 이런데 하물며 사람이랴! 펴보고 나니 죽었던 친구를 다시 보는 느낌을 받는 것 같구나! 단노"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2.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3.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4. 대전대·건양대·목원대 SW중심대학 사업단, 지·산·학 협력 활성화 위해 맞손
  5. 대전, 영상콘텐츠 중심지로 도약하다
  1. (사)충남지역혁신사업단, 나사렛대 평생교육원과 업무협약 체결
  2. 건양대 인공지능학과 'KAICTS 2025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영예
  3. 세종시 '이응다리+중앙공원'서 빛의 향연...22일 개막
  4. 조승래 국회의원, 충남대 후배들과 만나 소통
  5. 배재대 IPP사업단 2026년도 일학습병행 참여기업 모집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