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나눌수록 커지는 것, 김홍도의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나눌수록 커지는 것, 김홍도의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5-04 09:28
  • 수정 2024-05-04 09:2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세상엔 나누어 가질수록 커지는 것이 있고, 작아지는 것도 있다. 아는바와 같이 사람 감정이 그러하다. 기쁨, 즐거움, 사랑, 행복 같은 것은 함께 할수록 커진다. 슬픔, 고통, 아픔, 불행 같은 것은 나눌수록 작아진다. 분노, 불안, 공포 같이 경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 좋고 나쁜 것으로 대비된다. 극대화하고 극소화하기 위해 함께 하는 것이다. 서로 이롭게 한다. 이렇듯 더불어 사는 것이 우리 인류의 지혜임에도 기피하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아름다운 만남으로 기쁨과 즐거움이 배가된다. 아울러, 두고두고 회상하며 즐기기 위해 각종 기록으로 남긴다. 형상은 사진기가 없던 시절, 그림으로 남겼다. 계회도, 아회도 등이 그런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아회(雅會)가 성행했다. 말 그대로 우아한 만남이다. 글짓기뿐만 아니라 서화와 음악도 함께 즐겼다. 예술을 매개로 함께 향유하는 것이 목적이요, 차와 술을 곁들이기도 했다. 이른바 풍류다.

영·정조시대 문예부흥의 주역엔 중인이 많다. 신분사회여서 사대부로 대우 받지 못했을 뿐, 산관, 역관, 율관, 의관, 화원 등 잡과 출신 전문인이요, 사회 중추 세력이다. 조선 후기에는 이들의 경제력이 강해지면서 독특한 문화형성의 주체가 된다.



여항문인 모임인 '송석원시사', '벽오사' 등의 시사는 고품격 문화예술 향유가 지향점이었다. 호화롭거나 난잡한 음주가무가 아니다. 허경진의 <조선의 중인들>에 의하면 나름의 규약도 정하였던바, 벽오사의 것이다. 옛 사람의 진솔한 뜻을 본받아, "사철의 아름다운 날을 가려 모인다." "밥은 소채를 넘지 않고, 술은 세 순배를 넘기지 않으며, 안주는 세 가지를 넘지 않고, 차는 계산에 넣지 않는다." "마음대로 책을 읽고, 흥이 나는 대로 시를 읊으며, 한계를 두지는 않는다." 등이다. 모임 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남기고, 시첩으로 만들기도 한다.

지금도 문인들은 이러저러한 글짓기 모임을 갖는다. 각자가 써온 작품에 대하여 의견교환과 비평하는 합평회가 주지만, 글쓰기 지향점이나 문학 이론 및 정보도 나눈다. 선인이 즐겼던 것에 비하면 다소 축소된 모양새다.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으나 선인의 우아한 모습이 선망이었음은 분명하다.

사본 -ㅇㄹㅇㄹㅇㄹ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견본담채, 122.7 × 287.4cm, 국립중앙박물관> 6폭 병풍
문화재청이 2024년 4월 25일 새로 지정한 보물을 발표했다. 김홍도 필 <서원아집도, 견본담채, 122.7 × 287.4cm, 국립중앙박물관> 6폭 병풍 과 <남원 대복사 동종>이다.

<서원아집도>는 1778년(정조 2년) 김홍도가 완성한 그림으로 '서원아집(西園雅集)'이 주제이다. 서원은 중국 북송대 영종(英宗)의 부마였던 왕선(王詵)의 집 정원으로 수도 개봉(開封)에 있었다. 그곳에 왕선이 당대의 유명 인사를 초청, 베푼 아회이다. 왕선 자신과 서화가 미불(米?), 소식(蘇軾), 소철(蘇轍), 왕흠신(王欽臣), 원통대사(圓通大師), 유경(劉涇), 이공린(李公麟), 이지의(李之儀), 장뢰(張?), 정가회(鄭嘉會), 조보지(晁補之), 진경원(陳景元), 진관(秦觀), 채조(蔡肇), 황정견(黃庭堅) 등 16인(진사도(陳師道)를 넣어 17인이 되기도 함)이 모여 시 읊조리고, 휘호 하고, 현금(玄琴) 타고, 담론을 즐기거나 석벽(石壁)에 제시(題詩)를 적고 있는 모습이다. 원 <서원아집도>는 이공린이 그리고 미불이 찬문을 썼다 한다. 이공린 그림은 전하지 않고 미불의 찬문만 전하는데, 후대 사람이 그리는 서원아집은 미불의 찬문이 바탕이다. 김홍도는 같은 주제의 8폭 병풍과 선면화도 남겼다.

그러나 실제 서원아집이 있었던 것이 아니고, 이상적인 풍류모임을 상상하여 그린 것에서 유래했다하기도 한다.

이종수의 <이야기 그림 이야기>를 참고하면, 등장인물 모두가 주인공이다. 서원아집이 열렸던 1086년 중국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18세기 조선으로 옮겨 온다. 1폭과 2폭엔 예사롭지 않은 서원 입구와 사람 셋, 사슴이 등장한다. 사람은 주인공들의 시종일까, 뭔가 부지런히 나르고 있다. 3폭은 두 마리 학과 암벽에 글 쓰는 모습이 그려있다. 글 쓰는 사람은 미불이고, 바라보는 왕흠신과 벼루 받쳐 든 시동이다. 4폭은 오동나무 아래 병풍이 있고, 그 앞의 탁상에 놓인 그림을 감상하고 있다. 이공린을 중심으로 5명의 문인과 시동 2명이 등장한다. 5폭에는 커다란 탁상위에 준비된 지필묵으로 휘호하는 모습이다. 소식의 무리 5명과 시녀와 시동 포함 8명이 등장한다. 6폭의 아래엔 비파 연주하는 진경원과 듣는 사람, 위쪽에는 강론하는 원통대사와 경정하는 사람이 그려져 있다. 태호석, 소나무, 버드나무, 매화, 파초, 학, 사슴, 고동(古董) 등을 적절히 배치하여 운치를 살리고, 등장인물의 특징과 인품 표현에 진력했음을 알 수 있다. 5폭에 쓰인 강세황의 제발은 대표적 등장인물과 김홍도에 대한 칭찬 일색이다.

품격 있게 자신과 조직, 주위를 가꾸고 가다듬는 것은 자신과 사회를 고품격으로 만드는 일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천안시, 11월 '단풍' 주제로 모바일 스탬프투어 운영
  3. 남서울대, '제5회 국제 한국어 말하기 대회' 개최
  4. 천안법원, 교통사고 후 허위 진술로 범인도피 도모한 연인에게 '철퇴'
  5.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1.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2. 천안법원, 투자자 기망한 60대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자 '징역 2년 8월'
  3. 한기대 '신기술.첨단산업분야 인재양성 콘퍼런스' 개최
  4. 순천향대천안병원, 충남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심포지엄 성료
  5. 천안시, 지역사회치매협의체 회의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돌입…한화볼파크 계약 행정 실효성 부족 도마 위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돌입…한화볼파크 계약 행정 실효성 부족 도마 위

대전시의회가 시정 전반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한 가운데 프로야구 한화이글스 신구장인 대전한화생명볼파크 계약 구조와 행정 효율성 부족, 산업정책 추진력 저하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가장 먼저 대전한화생명볼파크의 사용·수익허가 계약이 공공성과 책임성 측면에서 불균형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7일 열린 제291회 제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복지환경위원회 소속 박종선 의원(국민의힘·유성1)은 "대전시와 한화이글스가 체결한 야구장 사용·수익허가 계약서에서 관리 주체와 범위가 불명확하다"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그는 "야구장의 직접..

국민의힘 대전시당, 논평전 강화 시도 눈길… 지선 앞 여론전 선점?
국민의힘 대전시당, 논평전 강화 시도 눈길… 지선 앞 여론전 선점?

국민의힘 대전시당이 이은권 위원장 체제 전환 후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공세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주요 인사들에 대한 공격을 통해 여론전을 주도하겠다는 의도로 읽히는데, 전임 대변인단 때와 달리 현안별 세심한 대응과 공당 논평에 맞는 무게감을 높여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7~8일 민주당 박정현 대전시당위원장과 허태정 전 대전시장을 겨냥한 논평을 냈다. 날짜별론 7일에 2개, 8일에 1개의 논평이 나갔다. 우선 박 위원장을 향해선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지역 정부가 지역소멸 우려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광역권(5극 3특)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광역급행철도(CTX) 등 광역교통망 구축에서 수도권 빨대 효과를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충청권은 국토 중심에 있어 광역교통망 구축에 유리하지만, 수도권에 인접해 자칫 지역 자원이 수도권으로 빨려들어 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선 광역교통망을 지역 주도형으로 구축 균형발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전시와 대전연구원 주최로 지난 6일과 7일 이틀간 열린 '2025 대전 정책엑스포'의 '새 정부 균형성..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