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라은 교사 |
3월 초, 새 학기 맞이 준비를 위한 교실청소가 완벽하게 되지 않았다. 큰 먼지들과 쓰레기들은 교실 중간중간에 버려져 있었고, 학생들의 책상 위 먼지도 닦지 않았다. 3월 2일. 아이들이 교실 문을 열고 들어온다. 교실에 들어온 학생 중 한 명이 이런 말 해도 되느냐는 표정으로 멋쩍게 웃으며 말한다.
"교실이 좀 더러운 것 같아요."
"어,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몇몇 학생들이 연달아 맞장구를 친다.
"이미 충분히 더러우니, 더 더러워질 일은 없겠고, 그럼 치우는 일만 남았네?" 나는 조용히 청소의 주도권을 학생들에게 넘긴다. 아이들은 자기 책상을 비롯한 교실 이곳저곳을 쓸고 닦는다. 어른인 나의 눈으로 보기엔 뒷손이 많이 가는 어설픈 솜씨이기 짝이 없다. 손바닥만 한 물티슈로 교실 바닥을 닦고 있는 모습 하며,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제대로 올리지 못하는 서툰 빗자루질들.
'차라리 내가 하고 말지'라는 답답한 마음을 뒤로하고 아이들이 스스로 청소를 완성할 수 있도록 지켜본다. 나 혼자 쓸고 닦으면 10분 걸릴 일을, 한 시간가량을 아무 말 없이 지켜보고 있자니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다.
아뿔싸, 그런데 청소를 마친 아이들의 모습에는 뿌듯함이 역력하다. '땀 흘리며 뭔가를 해냈다'하는 저 표정을 보니 '그래 맞다, 완성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청소를 하고 싶게 만드는 동기가 중요한 거였지. 청소가 재밌다는 인식을 심어줬으니 이만하면 됐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에피소드 하나로 "아이들이 1년 내내 청소를 잘하던가요?" 라는 물음이 들린다면 나는 단호하게 "아니요. 그럴 리가요"고 답한다.
3월 2일 첫날 청소 후, 교사인 내가 청소를 강요하지 않으니 교실은 순식간에 더러워졌다. 하루, 이틀, 사흘, 그리고 꽉 채운 일주일. 교실은 붙임 딱지 조각들과 구겨진 가정통신문, 돌아다니는 학용품들로 '막장'이 됐다.
보다 못한 한 명이 "청소해야 돼요. 교실이 너무 더러워요"라며 청소가 필요하다고 읍소한다. 옳거니 기다리던 바다. 나는 차분한 척, 청소를 왜 해야 하는지, 진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지, 그럼 언제 하면 좋을지 아이들에게 차근차근 물었고, 청소구역과 청소 담당, 청소하는 주기, 청소 시간 등을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정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얼마나 자주 청소를 해야할까라는 회의 중 남학생 한 명이 "한 달에 한 번이요"라고 답한다. 얼씨구라고 속으로 생각하는 찰나, 그 옆에 있던 남학생이 "한 학기에 한 번"이라며 웃는다. '어어? 이놈들 봐라?' "그렇게 청소를 자주 안 하면 교실이 더러워질 테니, 그건 안돼. 한 달에 한 번은 너무 적어"라고 말하고 싶은 속내를 꾹 누른다. 청소 주도권은 학생들이 이미 가져갔으니, 나는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지켜보는 역할만 해야 하는 셈이다. 저들끼리도 한 학기에 한 번은 너무 심했는지, 결국 우리 반은 '한 달에 한 번만 청소하면 되는 학급'으로 결론이 났다. 이제 지저분한 교실을 견뎌야 하는 교사와 학생들, 그리고 더럽고 행복한 학생들만 남은 셈이다.
결론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해할 독자를 위해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확히 '12일'이 걸렸다. 청소 주기를 다시 정하자는 자발적 학급회의가 열리기까지. '더러워서 못 견디겠다'는 학생들로부터 시작된 자발적 긴급회의였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겪은 우리 반은 최종적으로 일주일에 3일 청소를 하는 학급이 됐고, 학교에서는 '청소를 야무지게 잘하는 학생들'로 유명해진 건 덤이다.
"학생들이 어쩜 그렇게 청소를 잘해요"라고 물어보는 동료 교사들에게 난 매번 "놔두니 알아서 하더라고요"라고 싱겁게 답한다. 그러니 '완벽한 선생님이 좋은 선생님일까?'라는 나의 의문은 여전히 유효할 수밖에 없다.
남은 학기도 여전히 아이들에게 넘겨줄 주도권의 카테고리를 머릿속에 그려본다. 교실의 주인이 교사인 척 모든 것들을 황제처럼 지휘하고 지시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교육의 목표는 순종이 아니라 독립이라는 어느 교육자의 말을 나는 오늘도 마음에 새긴다. /보령 개화초등학교 박라은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