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주기 대전 산내골령골 피해자 합동위령제 개최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제74주기 대전 산내골령골 피해자 합동위령제 개최

27일 동구 낭월동 일대 산내골령골 현장서 열려
유족, 골령골 사건 진실규명, 평화공원 착공 촉구

  • 승인 2024-06-27 17:48
  • 신문게재 2024-06-28 6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KakaoTalk_20240627_155952203_08
27일 대전산내골령골 합동위령제 모습 (사진=사단법인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제공)
한국 전쟁 당시 이승만 정부와 군경에 의해 집단 학살을 당한 산내 골령골 피해자들을 위한 합동위령제가 열렸다.

대전산내골령골학살사건 제74주기 피학살자 합동위령제 추진위원회는 27일 동구 낭월동 일대 산내 골령골에서 합동위령제를 열고 피학살자의 넋과 유족들을 위로했다. 위령제는 추모 묵념과 내외빈소개, 유족대표 인사, 헌작, 추모공연, 추도사, 퍼포먼스 및 헌화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전미경 대전산내골령골피학살자유족회장은 조속한 골령골 평화공원 착공과 산내골령골 사건의 진실 규명을 거듭 강조했다. 전 회장은 "골령골에 평화공원이 착공되기를 바라지만, 올해 착공도 미지수"라며 "2기 진실화해위원회의 지난 3년간 사건 처리율도 60%에 불과하다. 그중 진실 규명율은 그 절반에 불과한 31%"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 진실화해위의 조사 기간은 1년밖에 남지 않아 진실 규명 신청을 한 대전형무소 피학살 유족들의 심경은 답답하기만 하다"며 "아직 대부분의 유족이 진실규명 결정서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KakaoTalk_20240627_155952203_13
27일 대전산내골령골 합동위령제 모습 (사진=사단법인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 제공
박규용 대전산내골령골대책회의 상임대표는 "다 끝난 줄 알았던 산내 골령골 유해발굴이 지난 4월에 2학살지 윗부분 산기슭에서 발견되면서 아직도 찾아내야 할 유해가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며 "우리에게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 정확한 희생 규모를 찾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하고, 이름 석 자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수천의 희생자의 존재를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산내골령골학살사건은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17일까지 법적 절차 없이 보도연맹원과 대전형무소 재소자 등 1800명 이상 민간인들이 무고하게 집단 학살당한 사건이다. 산내골령골 합동위령제는 2000년에 처음으로 개최한 이래 산내골령골 사건 현장에서 6월 27일마다 열고 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충북·제주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 서울 19주 만에 하락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3.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4.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5.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