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2강 새옹지마(塞翁之馬)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02강 새옹지마(塞翁之馬)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4-10-08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202강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邊方/ 국경근방)에 살고 있는 한 노인의 말(馬)

글 자 : 塞(변방 새/ 막을 색) 翁(늙은이 옹) 之(어조사 지/ ~~의) 馬(말 마)

塞 : 변방을 뜻할 때는 새로 읽고, 막다, 차단의 뜻으로 쓰였을 때는 색으로 읽는다.

출 처 :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



비 유 : 길(吉). 凶(흉). 화(禍). 복(福)은 일정하지 않다. 또는 화(禍)가 복(福)이 되고, 복(福)이 화(禍)가 되기도 한다.

사람이 한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리고는 그 상황을 잘 극복(克服)하여 노년(老年)에 행복(幸福)한 여생(餘生)을 즐기는 경우가 있는 반면, 그 역경(逆境)과 고난(苦難)을 이겨내지 못해 힘든 여생을 보내는 경우가 있다.

또 우연이 복권(福券)에 당첨되어 생각지도 않은 재복(財福)을 누리는 경우도 있는 반면, 믿었던 사람으로부터 사기(詐欺)를 당해 어려운 생활고를 겪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사람의 운명(運命)은 예측할 수 없으며 항상 대비(對備)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국 북방국경근방에 점(占)을 잘 치는 노인이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그가 기르는 말(馬)이 아무런 까닭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너머로 가버렸다. 당시 말은 다용도(多用途)의 귀중한 존재라 마을사람들이 노인을 위로하고 동정하자 늙은이는

"이것이 또 무슨 복(福)이 될는지 알겠소!"하고 조금도 낙심하지 않았다.

몇 달 뒤 뜻밖에도 도망갔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암말을 한 마리를 끌고 돌아오자 마을 사람들이 이것을 축하하였다. 그러자 그 노인은

"그것이 또 무슨 화(禍)가 될지 알겠소!"하고 조금도 기뻐하지 않았다.

그런데 집에 좋은 말이 생기자 전부터 말 타기를 좋아하던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고 달리다가 말에서 떨어져 우측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아들의 낙마를 위로하자 노인은 "그것이 혹시 복(福)이 될는지 누가 알겠소!"하고 태연한 표정이었다.

그런 지 1년이 지난 후 북방의 오랑캐들이 쳐들어왔다. 그러자 그 동네의 장정(壯丁)들이 징집(徵集)되어 전쟁터에 나가 모두 전사(戰死)하였는데, 노인의 아들만 다리가 절름발이어서 징집되지 않아 부자(父子)가 모두 무사(無事)할 수 있었다.

이로서 노인은 화(禍)가 복(福)이 되고, 복이 화가되는 경우를 겪고 태연하게 맞았다.

인간의 삶에 복(福)이 화(禍)로 변하고, 길(吉)이 흉(凶)으로 변하는 그런 경우에 처했을 때 겸손(謙遜)하게 받아들였을 때는 존귀(尊貴)의 표상(表象)이었지만, 교만(驕慢)에 빠졌을 때는 패망(敗亡)의 늪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란 인간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화(禍)와 복(福)을 반복하니 눈앞에 벌어지는 결과(結果)만을 가지고 너무 연연(連延)해하지 말라는 교훈(敎訓)을 주고 있다.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일어남으로 너무 기뻐 방심해서도 안 되며, 너무 슬퍼 포기할 것도 아님을 깨닫고, 언제나 최선을 다하며 겸손하게 살아가야 할 것이다.

사람들의 성격이 점점 급해져가고 있다. 아마 삶이 점점 팍팍해 지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성격이 급하거나 염세적(厭世的)인 사람일수록 처지가 바뀔 때마다 길(吉)하면 교만(驕慢)해지고, 흉(凶)하면 절망(絶望)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새옹지마의 교훈을 담담(淡淡)하게 받아들이는 노인의 지혜가 여유로움을 넘어 오히려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작은 성공에 거들먹거리고, 어렵고 힘든 상황이 되면 절망하고 두려움에 떠는 현대인들과 다른 가치관을 지닌 노인의 철학과 선견지명(先見之明)은 어디서 나왔을까?

이는 다양한 실패와 성공을 경험한 경륜(經綸)에서 그 지혜로움이 나온 것이다.

노인은 밤이 깊어지면 새벽이 가까워 졌음을, 또 겨울이 깊어 가면 봄이 가까워진다는 천리(天理)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친 명재상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교훈을 음미해본다.

"亡牛牢可輔 失馬廐可築(망우뢰가보 실마구가축/ 소를 잃어버렸어도 외양간을 고치고, 말을 잃어버렸어도 마구간을 지어라."

이는 실패한 뒤 재빨리 수습하면 늦지 않다는 말이며. '비록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으나 닦아오는 일은 오히려 대처할 수 있다.'는 새로운 희망을 가지고 정진하면 화(禍)도 복(福)으로 빨리 회복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새옹지마(塞翁之馬)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매사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거나 경거망동(輕擧妄動), 교만(驕慢)하지 말고, 조심 또 조심하라는 것이다.

언제나 자신의 분수(分數)를 잘 알고 자신의 직분(職分)에 충실(忠實)하며 겸손(謙遜)할 줄 알면, 후세에 모범이 되는 훌륭한 자취를 남기는 인물이 될 것이다.

원치 않게 감옥에 들어간 세르반테스는 불후의 명작 '돈키호테'를 쓰게 한 장소가 되었고, 궁형(宮刑)을 당한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를 탄생시켰으며. 또한 정약용(丁若鏞)은 유배(流配) 중에 목민심서(牧民心書) 등의 수많은 걸작을 남겼지 않았는가!

길(吉)과 흉(凶)의 변화는 천재(天才)나 영웅(英雄)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평민(平民)과 함께하는 평범(平凡)한 철학(哲學)이라는 것을 새삼 인식(認識)해야 할 것이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