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주택사업경기전망, 광역시권 중 낙폭 최대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대전 주택사업경기전망, 광역시권 중 낙폭 최대

수도권과 비수도권 양극화 심화 추세 돌입
세종·충북↓, 충남은 충청권서 홀로 상승

  • 승인 2024-10-17 16:14
  • 신문게재 2024-10-18 1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캡처
10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동향.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택사업경기전망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특히 대전은 광역시권 중에서 가장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0월 전국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달보다 4.6포인트 하락한 '81.6'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먼저 수도권은 1.3포인트 상승한 107.4로 전망됐다. 경기가 8.0포인트 오른 110.5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인천은 3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유지했고, 서울은 4.0포인트 하락한 111.9로 집계됐다.

이를 두고 주산연은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수요에 비해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울과 인접 지역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미국발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등이 사업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은 5.9포인트 하락한 76.0으로 전망됐다. 광역도시권은 평균 8.9포인트(87.7→78.8) 떨어졌고, 도 단위 지역은 평균 3.6포인트(77.6→74.0) 하락했다. 이는 스트레스 DSR 2단계 규제 등 대출 강화와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이 시장에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비수도권의 주택가격 회복세도 더딤에 따라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전은 17.7포인트(100.0→82.3) 떨어지면서 광역시권에서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세종(93.7→93.3)과 충북(72.7→60.0)도 하락을 면치 못했다. 충청권에선 유일하게 충남이 4.6포인트 상승(80.0→84.6)했다.

주산연은 "대전은 지역 경제 침체와 아울러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대전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인구 순 유출도 올해 4월부터 증가세에 있어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10월 전국 자재수급지수는 전월 대비 2.1포인트 하락한 91.6을 기록했고, 자금조달지수는 85.2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수요 감소에도 시멘트를 비롯한 자잿값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신규 채취원의 감소 및 수급 제한 규제 등으로 골재 공급 여건이 악화하면서 자재수급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