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습일기]여성들은 축구 선수를 좋아해서 축구를 좋아한다? 축구를 좋아하는 여성들의 심리

  • 스포츠
  • 축구

[수습일기]여성들은 축구 선수를 좋아해서 축구를 좋아한다? 축구를 좋아하는 여성들의 심리

여성들은 스포츠를 어떻게 소비할까?

  • 승인 2024-10-18 11:57
  • 수정 2024-11-17 20:56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남자들은 축구 하는 것을 좋아해서 축구를 좋아하고 여자들은 축구 선수를 좋아해서 축구를 좋아한다? 여러분들은 이 말에 동감하시나요?
요즘 K리그 축구경기장에 가면 여성 팬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요. 과거 남성들만의 전유물로 알려졌던 축구가 요즘에는 여성들도 직접 참여하는 축구로 보편화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K리그 경기장에는 이동국-안정환 등 미남 축구 스타를 응원하는 여고생 팬들로 넘쳐났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전 국민이 붉은악마가 됐던 2002월드컵 당시에도 축구장을 찾는 여성들의 숫자는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축구 경기장을 찾는 여성들은 대부분 스타와 맞물려 있다는 의견이 있는데요. 탁월한 능력에 잘생긴 외모까지 더한 스타가 등장했을 때, 축구를 향한 여심(女心)은 더욱 시너지를 낸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K리그 경기장을 보면 특출한 미남 스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을 찾는 20~30대 여성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조규성처럼 얼굴이 잘생긴 선수뿐 아니라 파이팅이 넘치는 황희찬, 귀엽고 청개구리 이미지의 이강인, 우직하고 듬직한 김민재, 두말이 필요 없는 쏘니 손흥민까지 
아아돌 그룹에서나 찾아볼 수 있었던 '팬덤'이 축구장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예능프로 '골때녀'는 관중석만 앉아 있던 여성들을 필드로 끌어 내리고 있습니다. 조기축구 아저씨들이 장악하고 있던 축구장에 20~30대 여성 축구 동호회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덩달아 축구용품 매출도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축구화를 비롯해 축구 조끼와 정강이 보호대의 판매량이 170% 이상 상승했다는 뉴스도 있었는데요. 뮤지컬이나 영화보다 가성비가 높은 티켓값. 월드컵과 A매치로 인해 축구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도 여성들이 축구를 좋아하게 된 이유로 분석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이유들로 여성들이 축구를 직접 하기도 하고 축구장을 찾기도 하고 있는데요. 여성들의 소비를 통해 K스포츠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는 점 스포츠에서의 여풍의 바람은 당분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중도일보 수습기자 김주혜 였습니다.  
수습기자 김주혜 연습영상 썹네일

김주혜 기자 Klim j h@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홍대용과학관, 8일 개기월식 온라인 생중계 운영
  2. [날씨]200년 빈도 폭우 쏟아진 서천…시간당 137㎜ 누적 248㎜
  3.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4. 충청권 ‘노쇼 사기’ 올해만 464건·피해 67억원… 검거는 3명뿐
  5.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1.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2. KAIST 교직원, 법인카드 이용 횡령 의혹… 경찰 수사 착수
  3. 8일부터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전년과 달라진 점은?
  4. [2026 수시특집-우송대] 지역 한계 넘어 세계로… 국제화 역량·특성화 교육성과 입증
  5. [홍석환의 3분 경영] 문득 생각나는 사람

헤드라인 뉴스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1년치 단순통계 탓에 충청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

<속보> 보건복지부가 뇌졸중과 파킨슨병으로 집중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필요한 병상 총량을 내년부터 대전에서 26%, 충북에서 30% 감축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2024년도 한 해의 환자 통계를 가지고 기계적으로 병상 수를 조정하면서 인구 적은 광주 목표 병상수는 62% 오히려 증가해 대전 인구 1만명당 4.05병상일 때 광주는 6.3병상으로 불평등이 발생할 소지가 커졌다. 7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제3기 재활의료기관 지정 예고 고시문에 대전과 충북에서만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병상을 감..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발의 코앞… 여야 정부 공감대 '안갯속'

내년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안이 빠르면 이번 주 국회에 제출된다. 두 시·도는 실질적인 지방정부 구현을 강조하며 통합에 속도 내고 있는 가운데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여야와 정부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일 대전시와 충남도에 따르면 이달 중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이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시·도와 성일종 의원실은 현재 여야 의원 50명 이상을 공동 발의자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만남을 통해 행정통합 추진을 위..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조파업 전성시대 열리나' 커지는 우려감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자동차와 조선업 분야에서 노조 파업이 잇따르면서 '노조 파업 전성시대'가 열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연관성을 부정하며 긴급 진화에 나섰지만, 지역 경영계는 법 통과가 노조파업의 도화선이 됐다고 보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국내 주요 자동차·조선업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줄줄이 파업을 선언했다. 노사 갈등이 연쇄적으로 폭발하는 양상이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지난 4일 설명회를 열고 "이번 파업은 임단협 과정에서 임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