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미술 아카이브]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 세기의 동행'

  • 오피니언
  • 대전미술 아카이브

[대전미술 아카이브]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 세기의 동행'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 승인 2024-11-25 17:13
  • 신문게재 2024-11-26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41125090200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 세기의 동행》(2015)은 19세기 후반 장승업과 그의 제자들로부터 출발하여 구한말과 식민지 시대를 거쳐 분단과 전쟁, 경제개발과 민주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미술사조와 흐름을 대표작가 67인의 작업을 통해 전개했다. 전시의 타이틀은 역사적 변화가 불러온 문화사, 그리고 그 안에서 꽃피운 예술을 확인함으로써 미술이 어떻게 사회와 관계하고 시대와 세대를 연결하는가를 드러낸다. 전시는 단순한 미술사적 맥락을 넘어 격동의 시대와 척박한 환경 속에서 예술가들이 살아낸 시대를 다섯 개의 키워드로 분류했다. 첫 번째 섹션 '계승과 혁신'은 장승업, 김은호, 박승무, 이상범, 김기창, 이응노, 민경갑 등의 작업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전통미술의 고수를 위해 서화 시대의 확장을 도모했던 근대 초기의 시도를 통해 조선의 서화가 진화한 과정을 소개했다. 이어 '이식과 증식'에서는 일제강점기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일본에서 유입된 '신흥미술'이 이식되고 서구 모더니즘이 체화되며 한국적 근대의 모습으로 증식된 현상을 전했다. 세 번째 섹션 '분단과 이산'은 전쟁과 분단을 직접 경험한 세대가 스스로의 상처를 작업으로 승화함을 생생히 드러냈다. 이어지는 '추상과 개념'에서는 20세기 후반의 개념미술과 아방가르드를 소개하고 추상과 전위를 거치며 발전을 거듭한 한국현대미술의 핵심을 다루었다. 마지막 섹션 '민중과 대중'은 사회비판과 참여의식을 기반으로 한 예술적 실천과 민중에서 대중의 시대로 진화한 한국의 탈근대적 사회상을 보여주었다. 《한국근현대미술특별전 : 세기의 동행》은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통해 격변의 시대를 증언한 것은 물론 역사와 예술을 진보적 변화의 관점에서 돌아보며 시대와 세대 간 소통을 꾀한 전시였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1.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2.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3.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4.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5.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